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오른쪽)와 김동연 새로운물결 당 대표가 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함께 입장,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왼쪽 사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단일화 기자회견을 마치고 손을 잡고 있다.(오른쪽 사진). 사진공동취재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모두 ‘통합정부’를 주창했다. 이 후보는 어제 “이념과 진영 뛰어넘는 실용적 국민통합정부를 흔들림 없이 계속 추진해가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합의문에서 “미래지향적이며 개혁적인 국민통합정부를 통해 모든 국정 운영을 정상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뒤늦게 통합정부가 이번 대선의 화두로 부상하는 듯한 양상이다.
통합정부론은 이 후보가 먼저 띄웠다. 윤, 안 후보 단일화 흐름을 돌파하기 위한 선거 전략 성격이 짙었다. 안 후보를 단일화 구도에서 이탈시키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까지 아울러 윤 후보를 고립시키자는 의도였다. 윤 후보가 단일화 성사를 계기로 정권교체론과 함께 국민통합정부 구성을 선언한 것도 이 후보의 포위 시도에 대한 맞불 전략으로 봐야 할 듯하다.
선거전략 여부를 떠나 미래 담론과 시대정신의 실종 비판을 받아온 이번 대선에서 이제라도 통합정부 경쟁이 불붙은 것은 바람직하다. 이, 윤 후보의 맞대결 구도로 정리되면서 누가 되든 어느 때보다 더 극명한 ‘반쪽’ 대통령이 될 공산이 크다. 정치권도, 국민도 둘로 쪼개졌고, 진영 대결은 훨씬 치열해진 탓이다. 통합정부가 상생과 협치의 차원에서 꼭 실현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역대 대통령들도 대선 때마다 “통합 대통령”을 외쳤지만 빈말에 그쳤다. 이번엔 통합정부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또다시 듣기 좋은 수사에 그쳐선 안 된다. 남은 대선 기간 책임총리제를 어떻게 구현할지, 진영을 넘어 어떤 인재를 기용할지, 야당이나 야권 인사들의 의견을 어떻게 반영할지 등 좀 더 명확한 통합정부, 통합내각의 청사진을 내놓고 유권자들의 판단을 받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