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코로나 검사·치료체계 ‘대전환’…현장 “병원 내 감염 위험 우려”

입력 | 2022-03-11 10:58:00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코로나19 종합상황실에서 의료진들이 병상 CCTV를 살펴보고 있다. 2021.11.24/뉴스1

국내 코로나19 유행이 정점에 접어들면서 정부도 지난달에 이어 확진자 검사-치료체계 전환에 거듭 속도를 내고 있다. 일반 병상에서 확진자를 치료하고, 의사가 한 신속 항원검사(RAT) 양성 결과를 확진으로 인정하는 등 오미크론 환자를 일반 의료체계 안에서 치료받도록 할 계획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현재 입원 중인 코로나 환자 4명 가운데 3명은 기저질환 치료 때문에 감염병 전담 병상을 사용 중이다. 다음 주부터 경증의 원내 확진자에 대해 일반병상에서도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총리는 오미크론 관련 검사체계를 보완하겠다면서 “다음 주부터는 의료기관에서 시행 중인 ‘전문가용 신속 항원검사’에 대해서도 추가 PCR(유전자증폭) 검사 없이 그 결과를 그대로 인정한다”고 밝혔다.

의료체계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코로나19 이전의 의료체계가 코로나19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다. 일선 의료현장은 체계 전환의 불가피함을 인정하면서 의료진이나 다른 환자의 감염 위험은 분명 커진다고 했다. 감염 관리가 완화되는 대신 고위험군 보호책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대본, 종합병원에 “경증 원내 확진자를 일반병상에서 치료해달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10일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코로나19 의료대응을 위한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2.3.10/뉴스1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날(10일)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지정된 음압병실에서만 치료하는 시스템은 지속 가능하지도, 효과적이지도 않다. 이제 병원 의료진 전체가 오미크론 환자의 치료를 위해 나서야 한다”며 ‘서울대학교병원 모델’ 확산 필요성을 제안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달 21일부터 입원 중 코로나19 감염 사실이 확인된 무증상·경증 환자는 음압병실로 이동시키지 않고 일반병동 1인실, 2인실 등에 입원 시켜 치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도 전날부터 입원 중 감염이 확인된 무증상·경증 환자의 일반병동 전실을 허용하고 있다.

아산병원 측은 “입원 중 확진 시 중증이면 중증 병상으로 이동하는 게 원칙이지만 현재 준중증·중증 병상이 90% 이상 가동 중이라 내린 조치다. 중증 병상이 확보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퇴원을 앞둔 환자가 임시로 안전하게 치료를 받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김부겸 총리가 거론했듯 오미크론 확산 이후 다른 질환으로 입원을 해야 하는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 경우 코로나19 격리병상을 호흡기 중증 환자를 위해 쓰지 못하게 될 수 있어, 입원환자를 분산시킬 방안이 필요해진 셈이다.

정부는 서울대병원처럼 암 치료나 투석, 응급수술 등의 목적으로 입원을 했다가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는 일반병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앞으로 응급실에 들어오는 확진자 등 신규 입원환자에 일반병실을 배정할 방침이다. 다음 주부터 시행되도록 제도를 개선 중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다음 주부터 전문가용 신속 항원검사 양성 결과로 코로나19 확진을 인정한다. 현 체계는 신속 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온 뒤 PCR 검사를 다시 받아야 확진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며 확진자로 집계하고 있다.

최근 PCR 검사가 폭증하면서 ‘확진 통보-재택치료 배정-먹는 치료제 처방’이 순서대로 지연되고 있어 동네 병·의원의 신속 항원검사 결과는 그대로 인정해 환자 관리와 치료에 속도를 내겠다는 복안이다.

◇현장 “피할 수 없지만, 고위험군 보호 필요해…빠른 치료도 중요”

서울대학교병원의 코로나19 확진환자 일반병동 관리 사례 (서울대학교병원 사진제공)

정부는 코로나19를 일반 진료체계가 점차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와 같다고도 밝혔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기저질환 관리가 아무래도 덜 될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종합병원급에서 자체 발생한 확진자부터 시작해 점차 일반 진료체계로 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은 점차 받아들여야 한다면서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과 보완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정도로 관리하면 될지, 법적으로 허용할 건지, 명문화된 규정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내놓은 건 지침에 그친다는 이유에서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날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주최 토론회에서 “감염 관리는 현재 의학 수준에서 추천하는 안전한 조치를 하면서, 진료하고 있다. 재난단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다만 감염 의료진이 환자를 감염시킬 수 있는 윤리적 문제는 있다”고 말했다.

백경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이 토론회 자리에서 “안전해서 하는 게 아니라 너무 많은 환자를 감당하려니 어쩔 수 없다고, 분명히 소통해야 한다”며 “제일 감염이 위험한 곳이 의료기관이다. 어떻게 고위험군을 보호하면서 감염 관리 완화를 허용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검사-치료체계 전환이 원내 감염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환자가 확진됐을 때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고 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뉴스1>에 “종합병원도 신속 항원검사 결과 양성이면 치료제를 즉시 처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적극적인 치료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