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923㏊가 잿더미로 된 울진·삼척 등 동해안 지역 피해 복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사진은 잿더미가 된 경북 울진군 북면 산. (울진=뉴스1)
‘역대 최대피해·최장기’ 기록을 남기며 잿더미가 된 울진·삼척 등 동해안 지역 피해 복구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까?
산불 피해지역의 조림 상태를 원래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는 빨라야 20년, 토양 복구까지에는 100년 넘게 걸린다.
울진 1만80463ha, 삼척 20369ha, 강릉 1900ha, 동해 2100ha 등 총 2만4940ha에 이를 정도로 방대한 만큼 긴급진단 및 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산림피해 복구계획 수립에도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은 위성영상 분석, 드론 촬영 등 현장조사를 비롯해 국립산림과학원의 산불피해 등급·분류 알고리즘 등과 병행해 분석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우선 연내 완료할 ‘응급복구’와 연차적으로 추진할 ‘항구복구’로 구분한다.
‘응급복구’는 생활권 주변지역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벌채와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방사업으로 추진된다. 사방사업은 장마가 오기 이전인 6월 이전 이뤄진다.
‘응급복구’와 달리 ‘항구복구’계획은 상당 기간 조사와 논의를 거쳐 단계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항구복구’는 불에 탄 산림을 자연 상태로 돌려 놓는 작업이다.
항구 복구 계획시 입지의 식생조건에 따라 자연복원과 인공복구를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복원은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인공조림을 실시할 경우보다 식생 피도(식물 군집을 구성하는 각 종류가 지표면을 차지하는 비율)가 높은 곳도 종종 발견된다.
산불지역의 경우 굴피나무 등 내화성 교목층이 스스로 자리를 잡게 된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구체적인 자연복원과 인공복구 구간과 수종 결정은 위성영상 분석, 드론 촬영 등 현장 작업은 물론 전문가 집단 세미나 등 다양한 절차를 거쳐 이뤄진다.
확실한 것은 불에 잘 타지 않는 나무 종류, 즉 내화수종으로 바꾸기 위한 작업이 필수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울진군 서면 소강리 금강송 군락지 (자료사진) © 뉴스1
산림청도 편백이나 참나무, 백합나무 등 활엽수 식재를 늘리고 있지만, 아직도 국내 산림 활엽수림은 27%에 불과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침엽수는 화염 유지 시간이 57.3초, 활엽수는 23.0초로 침엽수림에서 산불 확산 속도가 빠르다. 때문에 활엽수로의 수종 갱신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조건이다.
문제는 토질이다. 백합나무나 참나무 같은 활엽수 중심으로 비중을 늘려가고 있지만 토질이 맞아야 가능한 만큼 다각도의 논의를 거쳐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활엽수를 심기 위해 시도했지만 실패를 많이 했다”며 “활엽수가 자랄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숲가꾸기 작업도 이뤄진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수행한 ‘숲가꾸기를 통한 산불 피해 발생 관찰 모의실험 연구’에 따르면 밀도가 같은 소나무 숲에서 동일 조건의 풍속(6m/s)인 경우 숲가꾸기를 안 한 산림이 솎아베기 40% 비율의 숲가꾸기를 한 산림보다 약 1.74배의 피해가 더 발생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가뭄이 지속되는 등 대형 산불 예방과 대응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대형산불로 인해 훼손된 산림이 조속히 생태적 기능성을 회복하고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ㆍ충남=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