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처럼 머리 감으면 염색 효과… 새치 염색약보다 자극 적고 편리 국내 샴푸 시장서 비중 8% 추산… 日-美 유명 제품 국내 진출 모색 국내 기업들도 잇따라 출시 준비… 주요 성분 등 따져 신중히 선택을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새치 샴푸는 머리를 감으면서 흰머리를 어두운 색으로 변색시키는 제품이다. 동아일보DB
새치 커버 기능을 갖춘 샴푸는 평소처럼 머리를 감으면 제품의 특정 성분이 흰머리를 어두운 색으로 변색시키는 제품이다. 새치 염색약의 잦은 사용으로 인한 번거로움, 눈과 두피 자극 등의 불편함을 ‘매일 사용하는 샴푸로 대체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앞세워 최근 주목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모다모다 샴푸’의 핵심 성분을 위해 성분으로 판단해 사용금지 결정을 내리며 새치 커버 기능 샴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나 미국, 일본에서는 이미 20여 년 전부터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 제품들을 출시해 현재까지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 세계 염모 제품 시장은 2019년 290억 달러(약 36조 원)에서 2023년 420억 달러(약 52조 원)로 5년간 45% 이상의 성장을 내다봤다. 염모 제품 시장의 성장세에는 새치 커버 기능 제품의 역할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일본은 고령 인구가 많은 인구학적 특성으로 손쉽게 염색할 수 있는 제품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다. 2020년 일본 시장조사기관 후지경제 마케팅 요람에 따르면 일본의 전체 염모 제품 중 20%는 염색약 유형이 아닌 새치 커버 기능을 갖춘 컬러 린스, 샴푸, 트리트먼트 등이다.
대표적으로 일본 리시리(利尻)는 2009년 헤어 컬러 트리트먼트를 출시한 후 2013년 헤어 컬러 샴푸까지 손쉬운 새치 커버와 트리트먼트 효과를 앞세워 염모 제품 시장에 반향을 일으켰다. 2014년에는 시세이도가 ‘PRIOR 컬러 컨디셔너’를 출시했고, 가오는 염모 브랜드 리라이즈를 통해 컬러링 샴푸를 2021년 선보였다.
카페인 샴푸로 유명한 독일 DR. WOLLF의 알페신 역시 2011년 ‘Tuning Shampoo’, 2012년 ‘POWER GRAU’를 연이어 출시해 유럽에서 새치 커버 샴푸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1993년 염색 기능이 포함된 새치 커버 제품 컬러린스를 출시했으며 2020년 리즈케이의 ‘알블랙 샴푸’, 이엘라이즈의 ‘루트헤어샴푸’, 2021년 8월 모다모다 ‘프로체인지블랙샴푸’, 2022년 2월에는 서울화장품의 ‘메르센보떼’ 등 새치 커버 샴푸가 앞 다퉈 출시 중이다.
새치 샴푸 제품이 대거 선보이면서 기업들은 염모 방식에 다양한 기술력을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 기술로는 △식약처의 사용금지 처분으로 이슈가 된 1,2,4-THB를 사용 △모발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는 새치 케어 성분 ‘그레이버스’를 원료로 사용 △이온 결합 방식을 통해 색소를 머리카락에 고정 등 3가지 기술이 주로 쓰인다. 별개로 새치 샴푸는 아니지만 염모제에 거품을 첨가해 샴푸처럼 사용하는 거품형 염모 제품도 있다.
20여 년 전부터 글로벌 뷰티 브랜드에서 머리를 감으면 자연스레 새치가 커버되는 새치 샴푸를 출시하고 있어 국내에 출시된 새치 샴푸들이 새로운 염모 제품 시장을 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이 염색의 편리성과 탈모 증상 완화, 두피 케어, 헤어 볼륨 케어 등 부가적 기능성까지 인정받은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 새치는 물론이고 복합적인 헤어 고민을 갖고 있는 고객들의 선택 폭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다만 제품별 색상이 발현되는 시간, 모발과 두피 자극의 수준, 주요 성분의 안전성에 차이가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새치 샴푸 선택 시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권혁일 기자 moragoheyaj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