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스포츠 역사 쓴 페라리 75주년… F1 경주 빠짐없이 출전하며 기술력 키워 올 시즌에는 터보차저-전기모터 결합… 6기통에 1000마력 넘는 ‘괴물 성능’
페라리의 최신 F1 경주차 F1-75는 페라리의 첫 차인 125 S와 비교할 수 없는 성능을 낸다. 페라리 제공
류청희 자동차칼럼니스트
100분 동안 진행된 결승 경주가 끝나는 순간 가장 큰 환호성이 터져나온 곳은 페라리 팀이었다. 페라리 팀 두 명의 선수가 1위와 2위를 차지했기 때문이었다. 경쟁 끝에 거둔 우승은 언제나 기분 좋은 일이다. 그럼에도 페라리의 환호성이 유난히 컸던 이유는 이번 우승이 주는 의미가 남달랐기 때문이다.
이번 우승으로 페라리는 2019년 9월 이후 처음으로 소속 선수가 F1 경주 시상대 정상에 올랐다. 그 사이 열린 45번의 경주에서는 단 한 번도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다. 1950년에 F1 세계 선수권 대회가 처음 열리고 한 번도 빠짐없이 출전한 팀은 페라리가 유일하다. 그만큼 페라리는 F1의 간판 팀 역할을 해 왔고, 페라리에도 F1 출전은 가장 중요한 기업 활동이다. 그래서 페라리는 물론이고 페라리 오너들과 모터스포츠 팬들도 오랜만의 우승이 더 반가웠다.
20일 열린 2022 포뮬러 원 개막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페라리 경주차.
페라리가 처음부터 직접 자동차를 개발하고 만든 것은 아니었다. 페라리 창업자인 엔초 페라리는 알파 로메오가 만든 차로 경주에 출전하는 팀을 이끌었다. 그 팀의 이름은 창업자의 성을 딴 스쿠데리아 페라리(Scuderia Ferrari)다.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지금도 F1을 비롯한 페라리의 모터스포츠 활동을 주관하고 있는 사업부로 명맥을 잇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직전 알파 로메오와 결별한 페라리는 독자적으로 경주차를 만들어 경주에 출전하려고 했다. 그러나 그의 계획은 전쟁이 끝난 뒤에야 실현됐다. 그렇게 해서 처음 페라리의 이름과 페라리를 상징하는 카발리노 람판테(도약하는 말) 엠블럼을 단 차가 완성된 것이 1947년 3월 12일이었다.
이탈리아 마라넬로의 페라리 박물관에 전시된 페라리의 첫 차인 125 S.
페라리라는 회사는 물론 페라리가 만든 차들도 세월의 흐름만큼 큰 변화를 겪었다. 125 S보다 개선한 엔진을 얹은 페라리의 첫 F1 경주차인 ‘125 F1’은 엔진 최고출력이 230마력에 불과했다. 그러나 페라리가 올해 F1 시즌에 투입한 최신 경주차 ‘F1-75’의 동력계가 내는 최고출력은 1000마력을 훌쩍 넘는다. 엔진 기통 수는 절반인 6개고, 배기량은 겨우 100cc 커졌을 뿐인데도 이처럼 엄청난 성능 차이가 나는 것은 F1-75의 최신 동력계에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화려한 기술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반 도로를 달릴 수 있는 스포츠카들도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를 겪었다. 페라리는 초기에는 일반 도로에서 치러지는 경주에 출전할 수 있는 차를 일상에서 쓸 수 있도록 꾸며 판매했다. 즉 승용차의 탈을 쓴 경주차를 만들었다는 것. 1960년대 페라리를 대표하는 스포츠카인 250 시리즈가 이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중에서도 경주차 인증을 위해 특별히 만든 ‘250 GTO’는 희소성과 더불어 아름다운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을 겸비했다. 그 덕분에 250 GTO는 클래식카 경매에 나올 때마다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울 정도로 가치가 높은 차로 인정받고 있다.
페라리의 최신 스포츠카 296 GTB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페라리의 핵심 동력계임을 보여준다.
엔초 페라리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최고의 페라리는 다음에 만들 차다.” 언제나 지금보다 더 나은 차를 만들겠다는 뜻으로, 혁신을 통해 더 빠르고 뛰어난 차를 만들겠다는 개발 방향이 담겨 있는 말이다. 이는 경주차뿐 아니라 일반 도로를 달릴 수 있는 스포츠카에도 해당된다.
물론 경주차의 기술이 고스란히 스포츠카로 이어지는 시대는 지났다. 그러나 모터스포츠에서 끊임없이 혁신해 온 것처럼, 페라리는 지난 75년간 그래왔듯 앞으로도 혁신을 통해 최고의 성능을 추구하는 스포츠카들을 내놓을 것이다.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기술로 더 짜릿한 스포츠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줄 페라리의 새 차들이 기대되는 이유다.
류청희 자동차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