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5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맞선 대응 방안을 논의했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 러시아의 반대로 추가 제재는커녕 규탄 성명조차 내지 못한 채 끝났다. 중국은 특히 “미국이 돌파구를 원한다면 더 매력적이고 유연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미국 책임론까지 들고나왔다. 기존 대북 결의의 ‘도발 시 추가 제재’ 조항에 따른 논의는 계속된다지만 그 실현 가능성은 요원해 보인다.
유엔 차원의 대응 무산은 미중 전략경쟁과 러시아의 전쟁 도발로 전 세계가 신냉전 대결로 치달으면서 진작 예고된 것이었다. 안보리가 식물상태에 빠진 지도 이미 오래다. 북한의 도발 역시 중-러 독재자 진영에 가담해 그 비호 아래 곁불을 쬘 수 있다는 계산에서였다. 나아가 김정은은 ‘장기적 대결’을 공언하며 외교적 북핵 해결 기회를 걷어찼고, 중-러는 그런 북한을 감싸며 동북아를 신냉전의 긴장 지대로 만들었다.
북한의 핵 질주와 중-러의 비호는 결국 한미 동맹과 한미일 협력 강화, 자유진영의 결속을 부르고 있다. 마침 한국에선 정권교체와 함께 김정은을 어르고 달래던 대북정책이 종언을 고했다. 나아가 미국 전역을 사정권에 둔 ICBM 도발은 새삼 북핵이 한미 공동의 위협임을 확인시켜줬다. 대화를 우선시해온 조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도 압박과 제재를 넘어 더 가혹한 봉쇄와 고립으로 좁혀질 수밖에 없다.
신냉전은 이제 시작이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긴 싸움에 단단히 대비하자”고 했다. 당장 대화의 문을 닫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북한의 핵장난과 그것에 놀아난 중-러가 후회하도록 만들기 위한 동맹 차원의 장기 플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그 밑그림을 그리는 것이 윤석열 당선인이 곧 미국에 보낸다는 한미정책협의대표단의 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