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식물성 가죽… 폐배터리 재활용… 현대차, 친환경 생태계 구축

입력 | 2022-04-06 03:00:00

[모두를 위한 성장 ‘넷 포지티브’]
2부 | 기업, 함께하는 성장으로〈2〉 친환경 기업과 동행하는 현대차



현대자동차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는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차량이란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재활용 소재와 친환경 재료가 다수 활용됐다. 현대자동차 제공


#1. 스타트업 마이셀은 버려지는 버섯 균사체를 이용해 동물성 가죽을 대체할 ‘비건(식물성) 가죽’을 생산하는 회사다. 그리고 이를 차량 소재로 쓰는 복합재료나 직물로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현대자동차그룹 사내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2020년 독립했다. 독립할 당시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자동차용 재료 시장은 전무했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의 투자는 물론 네트워크까지 지원하면서 안정적 연구 기반이 마련됐고, 내년 제품 양산을 앞두고 있다.

#2. 중견기업 이앤알은 지난해 11월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트랜시스와 친환경 재생가죽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약 20년의 업력을 가진 이 회사는 가죽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을 모아 ‘보통 가죽’ 수준의 촉감과 물성을 갖춘 상품으로 가공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현대트랜시스는 앞서 이 회사에 현대차그룹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 2호 펀드를 통해 간접투자를 하기도 했다. 이번 MOU로 자동차용 친환경 가죽 개발은 더욱 속도를 내게 됐다.


○ ‘친환경’은 이미 글로벌 완성차 트렌드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친환경’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기차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자동차를 구성하는 내외장재도 경쟁적으로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고 있다.

독일 BMW는 최근 선보인 전기차 iX에 대당 60kg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했다. 최근 소개된 콘셉트카에는 금속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브랜드 로고를 레이저로 각인 처리하기도 했다. 스웨덴 브랜드 볼보는 2025년까지 신차에 들어가는 소재의 25%를 재활용된 재료나 바이오 물질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친환경 소재 활용과 천연 가죽 대체 움직임도 활발하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도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지침에 따라 2019년부터 대표 차종인 모델3 내부에 동물 가죽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독일 포르셰는 2020년 첫 전기차를 발표하며 천연가죽이 사용되지 않은 ‘레더프리’ 인테리어를 선보였다. 페라리, 람보르기니 같은 슈퍼 카의 시트나 실내 인테리어에는 천연 가죽이 아닌 이탈리아 소재 업체 알칸타라의 제품이 쓰이기도 한다.


○ 생태계를 키워 친환경 구현하려는 현대차


현대차그룹의 마이셀에 대한 투자, 이앤알과의 협업 역시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활동들이다. 특히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친환경 밸류체인’을 구축함으로써 더욱 적극적인 형태의 넷 포지티브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성진 마이셀 대표는 “기존 완성차 업체와 협력사 관계가 ‘원가 구조’에 최적화됐다면 지금은 ‘친환경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라고 설명했다. 협업의 목적이 단순히 원가를 절감(완성차 업체)하고 안정적 납품 물량을 확보(협력사)하는 게 아니라 탄소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공동의 목표가 있다는 것이다.

대기업과 협력사 간 관계가 보다 수평적으로 바뀌었다는 평가도 있다. 김호진 이앤알 대표는 “대기업과 대등하게 기술과 관련된 의견을 주고받고, 필요한 건 당당히 요구했다”며 “이앤알이 현대차그룹에 ‘갑질했다’고 해도 될 정도”라며 웃었다.


○ 전기차 폐배터리도 재활용한다

현대차그룹은 대표적 친환경차인 전기자동차와 관련한 새로운 생태계 구축도 준비하고 있다. 전기차의 폐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새 제품 대비 성능이 70% 이하로 떨어지면 사용할 수 없다.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지난해 약 470만 대였다. 2040년에는 12배에 가까운 54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폐배터리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은 이 과제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의 재활용’과 ‘폐배터리 완전 해체 후 소재 재활용’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하려 하고 있다. ESS는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오랜 기간 추가 사용이 가능하고, 배터리에 쓰이는 리튬, 코발트, 니켈 등 희귀금속들은 타 산업에도 활용도가 커서다.

기아는 색상, 소재, 페인트 등에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이브’란 이름의 연구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폐어망을 활용한 나일론 소재, 재활용 플라스틱과 이를 기반으로 생산된 원사 등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지 시험하는 곳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소재 부품 중 20%를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아울러 차량과 부품 구조를 단순화해 차량이 쉽게 해체될 수 있도록 만듦으로써 차량의 재활용률을 높이는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친환경 가치’를 추구하면서 차량 가격이 다소 비싸지는 데 대한 부담은 있다. 다만 최근 달라진 소비자들의 성향에 주목하고 있다. 소비 행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관을 드러내는 ‘미닝 아웃’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친환경 자동차는 완성차업체는 물론이고 소재와 부품을 납품하는 협력사들이 환경에 기여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도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