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교수, 유정은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교수 (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제공) © 뉴스1
담배를 도저히 끊기 어려우면 적어도 흡연량을 줄여야 암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교수와 유정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교수 연구팀은 흡연력 있는 국가건강검진 참여자 89만3582명의 암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를 미국암협회지(Caner)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두 차례 국가건강검진에서 밝힌 흡연력을 토대로 2018년까지 흡연량 변화에 따른 암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하루 평균 흡연한 담배 개비 수를 기준으로 금연군, 감연군, 유지군, 증가군 등으로 구분했다. 금연에 성공한 사람은 20.6%에 불과했으며 흡연량을 줄인 사람은 18.9%였다.
절반에 가까운 45.7%는 평소 피던 그대로 흡연을 유지했다. 기존보다 20% 이상 흡연량을 늘린 사람도 14.8%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하루 평균 흡연한 담배 개비 수를 기준으로 금연군, 감연군, 유지군, 증가군 등으로 구분했다. © 뉴스1
전체 암을 통틀어서는 6%, 흡연 관련 암은 9%, 폐암은 21%까지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었다.
흡연량을 50% 이상 감연한 경우 유지군에 비해 전체 암 발생은 4%, 흡연 관련 암은 5%, 폐암은 17% 정도 위험도를 줄였다.
다만 금연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다시 담배를 피우는 경우에는 암 발병 위험도 다시 치솟았다.
연구팀은 두 차례 건강검진에 이어 2013년 건강검진 자료까지 있는 68만2996명을 추가로 분석해 금연 중인 사람과 금연 후 다시 흡연하기 시작한 사람의 암 발생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금연 이후에 다시 담배를 피우는 경우 이전 흡연량의 50% 이상 감연하더라도, 금연 상태를 유지한 경우와 비교해 흡연 관련 암은 19%, 폐암은 48%까지 발생 위험도가 다시 높아졌다.
유정은 교수 역시 ”금연 후 재흡연시 암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니 어렵게 금연에 성공했으면 반드시 금연 상태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