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현장을 가다]
지난달 22일 일본 도쿄 신주쿠의 가전제품 양판점 ‘요도바시카메라’의 네온사인 조명이 꺼져 있다. 이날 일본에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첫 전력 수급 위기 경보가 발령됐다. 정전을 우려한 정부가 각 관공서, 기업, 가정 등의 절전을 당부했다. 아사히신문 제공
이상훈 도쿄 특파원
지난달 16일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7.4의 강진으로 발전소 일부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일본의 전력 부족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2011년 3·11 동일본대지진 이후 상당수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이 멈추고 기존 화력발전의 노후화도 심해져 일본은 이미 10년 넘게 전력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 와중에 잇따른 지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국제 유가 급등 여파로 전력 부족이 더 심각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빛 잃은 도쿄타워
이번 위기의 최대 원인은 지진에 따른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이다. 지난달 지진에 따른 설비 이상으로 후쿠시마현의 히로노화력, 신치화력 등 6기의 화력발전소(총 334만7000kW)가 멈췄다. 이 여파로 지난달 21일 밤 도쿄 일대의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도쿄전력은 전력 부족 위기 경보를 발령했다.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만들어진 이 제도가 실제로 쓰인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일본의 전력 위기 경보는 전력 공급 예비율이 3%를 밑돌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한국은 전력 예비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수급 관리에 나서고, 에어컨을 가장 많이 트는 한여름에 예비율이 4%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보이면 비상 대응에 나선다.
하루 뒤인 같은 달 22일 동아일보 도쿄지사가 위치한 도쿄 주오구 아사히신문 본사에는 “오늘 정부에서 전력 수급 위기 경보를 발령했다. 사용하지 않는 전등을 끄고 냉난방 설정 온도를 낮춰 달라”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주요 관공서와 대기업 등도 일제히 절전에 동참했다. 이날 도쿄도청은 청사 엘리베이터 일부의 운행을 멈췄고 복도 조명을 절반가량 껐다. 국토교통성은 온종일 청사의 난방 공급을 중단했다. JR동일본, 도쿄메트로 등 철도회사 또한 역내 에스컬레이터와 티켓 자동판매기의 가동을 일부 중단했다.
절전 캠페인 효과 미미
일본의 전력 위기 경보가 발령된 지난달 22일 도쿄 유라쿠초의 한 가전 판매점에 진열된 TV의 전원이 꺼져 있다. 아사히신문 제공
위기 경보 후에도 전력 사용률이 107%까지 올라 전기 공급이 부족해지자 도쿄전력은 긴급 상황 때 사용하는 양수발전소를 가동하고 민간 발전소의 전기까지 끌어 왔다. 그런데도 도쿄 인근 지바와 사이타마, 지난달 지진이 일어났던 도호쿠 지역의 후쿠시마와 이와테 등에서 일부 정전이 발생했다.
시민들은 불편을 호소했다. 도쿄의 한 백화점 관계자는 기자에게 “지금은 한여름이나 한겨울처럼 냉난방을 대대적으로 가동하는 시기가 아니어서 설정 온도를 조정해 봤자 절전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한 자동차업체 사원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재택근무를 하는 직원이 많아 평소에도 회사 PC 및 조명을 꺼두는 편”이라며 절전 캠페인에 동참하고 싶어도 딱히 할 게 없었다고 했다.
원전 축소도 전력 위기 부추겨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급격한 원전 비중 축소, 신재생 에너지의 비효율 또한 이번 전력난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전국 54기의 원전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11년이 흐른 지금 재가동 중인 원전은 10기에 불과하다. 한때 원전은 일본 전력 생산의 3분의 1을 담당했지만 지난해 원전 비중은 불과 6.2%였다.게다가 과거 고도성장기에 건설한 노후 화력발전소들이 잇따라 폐기되면서 가뜩이나 허약한 공급망에 구멍이 생기고 있다.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016년부터 현재까지 노후화로 문을 닫은 화력발전 규모는 102만 kW로 원전 1기분에 달한다. 2025년까지도 441만 kW의 화력발전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보여 우려를 낳고 있다.
최대 경제단체 경단련(經團連)의 도쿠라 마사카즈(十倉雅和) 회장은 “당장의 전력 위기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 대처를 소홀히 하면 안 된다”며 안전성이 증명되고 현지 주민의 이해를 얻은 원전을 신속히 재가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안전이 확보된 원전을 재가동해야 한다’는 응답이 53%로 ‘재가동 불가’(38%)를 훌쩍 넘어섰다.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재가동 기약이 없는 원전, 노후화된 화력발전, 효율성이 의심되는 신재생 에너지, 언제 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지진 등으로 일본의 전력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지진 우려가 상대적으로 덜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한국 역시 일본보다 나은 상황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평소에는 공기처럼 존재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한번 터지면 경제와 사회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치는 게 전력 문제다. 일본의 전력 위기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는 이유다.
이상훈 도쿄 특파원 sangh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