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국, 세계 첫 ‘엔데믹 국가’ 가능할까…사망자·집단면역 열쇠

입력 | 2022-04-07 10:43:00

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서 있다. 2022.4.7/뉴스1 © News1


해외 언론에서 우리나라를 세계 첫 코로나19 엔데믹(endemic) 국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김부겸 국무총리 역시 이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면서 엔데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방역 당국은 ‘아직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경계했지만 거리두기 해제 필요성을 강조해 엔데믹도 너무 멀지는 않았음을 시사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한국이 코로나19 펜데믹에서 엔데믹으로 가는 세계 최초의 국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낮은 치명률과 높은 백신 접종률, 공중 보건 시스템에 대한 높은 신뢰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이튿날인 지난 1일 김부겸 국무총리도 “우리나라가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세계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져본다”고 밝혔다. 이후 당국은 거리두기 조정 등 방역수칙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엔데믹은 어떤 병이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풍토병’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감기나 독감처럼 예측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이 된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엔데믹은 감기처럼 언제나 치료와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을 말한다”며 “아직 치료제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치료 자체도 엔데믹으로 정착이 안 돼 있다”고 말했다.

엔데믹이 되어 일상의료체계에서 치료가 가능한 상태가 되려면 환자의 규모가 너무 크지 않고 그 시기 등이 예측되어야 한다. 또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처럼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치료제가 있어야 한다.

코로나19는 우리나라의 경우 정점기를 막 지나 아직 일상적 발생시 환자의 규모가 어느 정도 될지 미지수다. 계절병처럼 가을과 겨울에 주로 유행하는 병이 될지조차 불확실하다. 게다가 팍스로비드 등의 먹는 치료약이 있지만 고가인데다 제약도 많다.

코로나19 엔데믹에 필요한 집단 면역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집단 면역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는지 확인이 안되는 것도 문제다. 일반적으로 면역을 가진 사람이 60~70% 정도 되면 어떤 감염병의 집단면역이 형성됐다 보고 더 이상 유행이 퍼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코로나19에 관한 한 워낙 전파력이 좋아 한때 일부 전문가들은 ‘90%까지 필요하다’, 혹은 ‘집단면역이 소용없는 바이러스다’고 봤다. 계속 전파력이 좋은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는 데다가 기존 접종자들의 면역력 저하까지 겹쳐 이처럼 집단면역 기준이 높아져버린 것이다.

전문가들은 결국 집단면역의 정확한 형성 기준은 실제 감염병이 지난 후에 알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1400만명을 넘은 누적 확진자에 3차 접종률까지 전국민 64%가 넘었지만 무증상자와 검사를 안받은 이들까지 해서 얼마나 면역이 형성됐을지 알 수 없다.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우리나라가 첫 엔데믹 국가가 되려면 다른 나라에서 유입되면 아무 의미가 없으니 전 세계적으로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이 끝나야 한다”며 “또 세계보건기구(WHO)가 ‘엔데믹 선언’을 해야 의미있다”고 말했다.

백순영 가톨릭대의대 명예교수는 “유행상황이 좋아지면 그 결과를 보고 ‘엔데믹’이라고 선언을 하는 것이지, 엔데믹이라고 미리 선전포고를 하고 방향에 맞추는 것이 아니다”며 “결과적으로는 엔데믹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나, 일 평균 사망자가 300명이 나오는 현 시점에서는 엔데믹보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