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다른 사람들은 다 ‘안 아프다, ’감기 같다‘고 하니까 무척 서러웠어요.”
박모씨(28·여)는 지난해 9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를 한 후에도 5개월 이상 다종다양한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박씨와 같이 ’롱 코비드‘(코로나19 장기 후유증)를 호소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후유증의 종류도 기력 저하부터 기침, 기억력·집중력 저하, 호흡곤란, 탈모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미국과 유럽 등 해외와 비교했을 때 늦게 나타난 만큼, 후유증에 대한 인식과 조사도 아직 걸음마 단계다. 때문에 환자들은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우선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호흡곤란에 일상조차 힘들어…“재취업 의욕 떨어지고 두려워요”
대전 유성구 유성선병원 가정의학과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증후군 클리닉에서 환자가 진료를 받고 있다. 코로나19 증후군 클리닉은 만16세 이상 격리 해제 후 3일 이후부터 진료가 가능하다. 의료진에 따르면 코로나 후유증에는 기침·가래, 두통·어지럼증 등의 신경학적 후유증, 만성피로와 무력감 등의 전신증상,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우울감 등의 정신증상이 나타난다. 2022.3/29/뉴스1
박씨는 “이렇게 계단만 오르내려도 숨이 찬데 서비스직을 할 수 있겠냐는 생각, 재감염에 대한 불안 등으로 인해 외출이 꺼려지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도 불안해진다”며 “재취업의 의욕이 자꾸만 떨어지고 두려워진다”고 토로했다.
박씨를 후유증만큼이나 힘들게 하고 있는 것은 그의 경험이 보편적이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의심이다. 코로나19가 일상을 뒤흔들었지만 아직 병원에 가 본 적도 없다. ’유난스럽다‘는 핀잔을 들을지도 모른다는 데 대한 걱정 때문이다.
박씨는 “지인들의 경험담을 듣거나 인터넷만 들여다봐도 (병원에서) ’코로나 때문이 아니니 어떻게 해줄 방법이 없다‘고들 하니, 굳이 그런 취급을 받으며 병원에 가야 하냐고 생각했다”고 돌아봤다.
때문에 당사자로서 가장 시급한 사회적 과제는 후유증 환자들에 대한 가시화라는 것이 박씨의 생각이다. 후유증 환자들과 관련 클리닉의 존재에 대해 뒤늦게 알게 된 박씨는 “나만 유난 떠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과 시선 때문에 많이 힘들었는데 그런 게 아닌 것 같아 마음이 놓인다”고 안도하기도 했다.
◇피로감 시작으로 덮친 후유증…“끝없이 졸음 시달려 업무 어려워”
© News1
특히 피로감이 정상적인 업무 수행과 일상 생활에까지 지장을 주고 있다는 점이 걱정거리다. 실수로 졸음운전을 했던 날도 있다. 안씨는 “식사 시간마다 잠을 자지 않으면 오후 업무가 너무 힘이 들 정도로 피곤하다”며 “너무 피로하면 휴식 시간마다 자러 나가야만 할 정도로 꾸준히 졸음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달라진 삶의 모습에 힘겨워하는 와중에도 한 가지 위안이 되는 것은, 직장 동료들을 비롯한 주변인들로부터 따뜻한 배려와 염려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안씨는 “저 같은 경우 누가 봐도 피로감 때문에 정신을 못 차리는 게 보이고, 평소 알레르기나 비염도 없었는데 눈에 띄게 피부에 발진이 생기니 오히려 저보다 주변에서 더 걱정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이제는 저 말고도 확진 경험이 있는 지인이나 가족들이 많아서 공감대 형성도 되고 걱정도 많이 받고 있다”며 “(후유증에 대한) 이슈화가 좀 더 많이 돼서 ’이런 증상이 있다‘고 사람들이 많이 인지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후유증 ’기력 저하·피로감‘ 가장 흔해…“공론화·안내 필요”
<뉴스1>이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사흘간 코로나19 확진 이후 후유증을 느끼고 있는 시민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절반 이상(51.6%)인 48명이 1개월 이하의 후유증을 겪고 있지만, 1개월 이상에서 길게는 6개월 이상 후유증을 겪는 응답자도 적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Δ’1개월 이하‘ 48명(51.6%) Δ’1개월 이상~2개월 미만‘ 21명(22.5%) Δ’6개월 이상‘ 11명(13.5%) Δ’2개월 이상~3개월 미만‘ 9명(9.7%) Δ’3개월 이상~6개월 미만 4명(4.3%) 등 순이었다.
겪고 있는 후유증(복수응답)으로는 ‘기력 저하·피로감’이 60명(64.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Δ‘기침’ 51명(54.8%) Δ‘가래’ 38명(40.9%) Δ‘기억력·집중력 저하’ 33명(35.5%) Δ‘두통’ 32명(34.4%) Δ‘어지러움’ 25명(26.9%) Δ‘시력 저하’ 23명(24.7%) Δ‘후각·미각 저하’ 22명(23.7%) Δ‘소화불량·가스 참’, ‘호흡곤란’ 각 21명(22.6%) Δ‘가슴 통증’, ‘두근거림’ 각 20명(21.5%) 등 순이었다.
이외에 Δ‘수면장애’ 19명(20.4%) Δ‘이상감각·저림’, ‘우울감·불안’ 각 18명(19.4%) Δ‘피부 발진’ 14명(15%) Δ‘체중 감소’ 12명(12.9%) Δ‘복통·위통’ 12명(12.9%) Δ‘설사’ 11명(11.8%) Δ‘탈모’ 9명(9.7%) Δ‘구역’ 8명(8.6%) Δ‘생리불순·비정상 질출혈’ 7명(7.5%) Δ‘속쓰림’ 6명(6.5%) Δ‘미열’ 4명(4.3%) Δ‘성기능 저하’ 3명(3.2%) 등의 응답도 있었다.
‘후유증 환자를 위해 정부나 사회에서 어떤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Δ후유증 사례에 대한 조사와 충분한 공론화 Δ후유증 환자에 대한 의식·인식 개선 Δ상담, 치료 안내 Δ증상, 관리 방법 등의 홍보 Δ후유증 매뉴얼화 Δ충분한 휴식 기간 Δ치료비 지원 Δ장애등급 부여 Δ전용 진료소 마련 Δ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는 “(오미크론 대유행으로부터) 2개월밖에 되지 않은 만큼 (후유증이) 앞으로 큰 이슈가 될 것”이라며 “2월 초가 돼서 많은 환자들이 생겼으니 앞으로 후유증(환자)이 많이 생길 텐데 제일 중요한 부분은 어떤 분이 위험한가 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