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원자력 발전소의 계속운전(연장) 신청 기한 확대를 추진한다. 이에 따라 새 정부에서는 총 18기의 원전에 대한 계속운전 신청이 가능해진다.
인수위 과학기술교육분과 간사인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과 논의해 원자력 발전소 계속 운전 신청 시기를 현행 설계 수명 만료일 2~5년 전에서 5~10년 전까지로 앞당기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계속운전 허가는 고리1호기(2007년), 월성1호기(2015년)에 대해 발급됐다.
다만 현 정부 들어서는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고리2호기 신청 지연 등이 빚어지며 계속운전 허가를 받은 원전이 없다.
감사원 등에서는 계속운전 신청 기간이 설계수명 만료일로부터 임박하면, 원전사업자는 허가 신청 전에 대규모 설비 개선 예산을 투입해야 하는데 원안위의 심의 결과에 따라서 선투입된 비용이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원안위의 계속운전 허가 심의에서 객관성·공정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견해도 제기된 바 있다.
원안위 심의에 소요되는 기간 등을 고려하면 설계수명이 종료되는 2023년 4월 8일 이후 계속운전 허가 발급 시까지 원전 정지가 불가피하다. 실제 운영 기간은 계속운전 기간인 10년보다 줄어들 수 있는 셈이다.
오는 2026년까지 수명이 끝나는 원전 5기도 계속운전 신청이 기한이 임박한 상황에서 이뤄질 수 있다.
이에 인수위는 후속 원전에 대해서는 미리 신청해 원안위의 심사를 받고 계속운전 허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서류 제출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
인수위는 신청 시기가 확대되면 원전의 계속운전 안전성에 대해 보다 철저하게 확인하고, 국민에 설명할 수 있다고 봤다.
이처럼 제도가 개선되면 새 정부 임기 중에 계속운전을 신청할 수 있는 원전은 당초 계획했던 10기보다 8기 늘어 총 18기다.
여기에는 2034년, 2035년 설계수명이 종료되는 한빛 3·4호기, 1차례 계속운전 10년에 더해 2차 계속운전 신청이 가능한 6기가 포함된다.
박 의원은 원전에 대한 안전성 우려와 관련해 “무턱대고 허가하는 게 아니고 만약 안전 문제가 있다면 영구 중지해야 한다”며 “그러나 안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는 원전은 계속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세금 낭비 방지 측면에서 맞는 일이고 정상화”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문 정부는 원전을 비정상적으로 운영해왔다는 차원에서 정상화의 단계”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또한 “(새 정부에서 신청 가능한) 18기 원전 중 문제가 없는 원전은 그대로 (운영을) 갈 수 있기 때문에 생태계가 훨씬 나아질 것”이라며 “미국의 경우 수명 연장을 2번 연기해 80년까지 한 것만 6개가 된다”고 했다.
지난 2019년 조기 폐쇄한 월성 1호기의 재가동 검토 여부에 대해서는 “영구 정지돼 재가동하면 여러 비용, 안전성 차원에서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