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5년 4월 22일 이스프리 전투에서 독일군이 영국, 프랑스군을 향해 독가스를 살포했다. 독가스 사용은 이미 국제협약으로 금지되어 있었지만 전쟁이 치열해지자 독일군이 유혹을 이기지 못했다. 화가 난 연합군도 독가스 사용 금지를 풀었다. 이로부터 1차 세계대전은 유례없는 화학무기의 실험장이 됐다.
독일군이 금단의 무기에 유혹된 이유는 무슨 수를 쓰든 전쟁을 빨리 끝낼 수 있다면 그것이 모든 나라와 사람에게 유익하다는 논리였다. 이건 별로 창의적인 논리도 아니다. 기관총부터 핵무기까지 가공할 살인무기가 등장할 때 늘 이마에 붙이고 있던 명분이었다.
그러면 독가스는 게임체인저가 됐을까? 아니다. 처음 독가스를 분사했을 때 독일군은 수천 명의 연합군을 단숨에 살상하고 패퇴시키는 성과를 얻었다. 그러나 이런 살상극을 벌이고도 독일군이 진격한 거리는 10km가 되지 못했다.
조금만 생각해 보면 독가스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없는 이유는 쉽게 알 수 있다. 우선 독일이나 연합군의 과학기술, 산업력은 엇비슷하다. 한쪽 제품이 더 우월할 수는 있지만 일방적인 우위는 아니다. 열쇠와 자물쇠처럼 공격용 무기를 만들 기술이 있다면 방독면처럼 방어용 장비도 만들 수 있다. 비행기가 무기로 사용되기 시작했을 때, 하늘에서 지상군을 내려다보면서 공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어떤 이들은 환상을 품었다. 제우스의 번개 같은 절대병기가 등장했다는 것. 아니었다. 대공포와 대공미사일이 그 꿈을 꺾었다. 더 치명적인 대항마는 상대의 항공기였다.
왜 인간은 절대무기에 대한 환각을 버리지 못할까? 경영에서 정치에서 인생에서도 그렇다. 이것만 되면 만사 오케이라는 한 방의 유혹에 집착하면 얻는 것은 카운터펀치뿐이다.
임용한 역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