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일상화됐던 재택근무가 점차 줄어들고 일터로 복귀하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물론 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함께 일하는 것’의 장점을 새삼 느끼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완전히 단절된 상태일 때보다 다른 사람과 함께 연결돼 있다는 기분을 느낄 때 업무 효율이 높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팬데믹 기간 자택에서 의류 재판매 사업을 하는 소피의 사례를 들어 보자. 그녀는 자신이 일하는 동안 방에 같이 있어 달라고 지인에게 자발적으로 부탁했다. 물건을 포장하거나 라벨을 대신 붙여 달라고 요청하지도 않았고, 재고 관리에 대해 조언을 구하지도 않았다. 상대방이 메일에 답장하든, 책을 읽든 신경 쓰지도 않았다. 그녀에겐 단지 일하는 동안 누군가 같은 물리적 공간에 있다는 게 중요했다. 그 사실만으로 소피는 외로움을 덜 느끼고 일에 더 잘 집중할 수 있었다. 시작한 일을 끝내는 데 책임감도 커졌다.
이처럼 물리적 혹은 가상적 공간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을 두고 ‘보디 더블링(body doubling)’이라고 부른다. ‘보디 더블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앓거나 혼자 쉽게 산만해지는 사람들이 과제에 계속 집중하도록 돕기 위해 고안됐으며 직장에서 업무를 시작하거나 완수하게 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아울러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 화상으로 연결되는 ‘보디 더블링’도 충분히 효과적이라고 한다.
‘보디 더블링’을 새롭게 시도해 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다음의 단계를 밟는 것이 좋다.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동료와 동시에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해야 한다. 반드시 같은 업무를 할 필요도 없고 회의실에서 직접 만나든지 화상회의를 통하든지 상관없지만 시간은 맞춰야 한다. 혹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반반 섞어도 된다. 그리고 이 ‘보디 더블링’이 모든 이에게 긍정적인 경험이 되려면 몇 가지 원칙을 정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 서로에게 조언, 도움, 자원이나 격려 등을 요청할 것인지, 누군가가 집중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발견했다면 개입해서 언급해야 할지, 급한 일이 생길 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쉬는 시간은 언제 가질지 등에 대한 사전 합의가 필요하다.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각자 정해진 시간이 끝날 때쯤 무엇을 성취하거나 느끼고 싶은지 미리 공유하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이렇게 기대치를 밝혀 두면 마지막에 이 초기 의도대로 일이 진행됐는지를 공유해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끝날 무렵에는 ‘보디 더블링’에 참석한 것에 대해 서로에게 감사를 표하고 언제 다시 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래야 모임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
교육자이자 작가면서 대통령 고문인 부커 워싱턴은 “자신을 높이고 싶다면 다른 사람을 높이라”고 말했다. ‘보디 더블링’을 하면서 타인과 함께 일하고 타인을 위해 기꺼이 상대방이 돼줄 때 우리는 스스로 높아질 수 있다. 혼자 일하면서 효율이 잘 오르지 않는다면 나를 지켜봐줄 동반자의 존재가 필요한 것은 아닐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HBR(하버드비즈니스리뷰) 한국어판 디지털 아티클 ‘함께 일하는 보디 더블링의 힘’을 요약한 것입니다.
정리=김윤진 기자 truth3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