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아이의 ‘공부 자신감’ 북돋우려면[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

입력 | 2022-05-04 03:00:00

〈153〉 공부를 쉽게 포기하는 아이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오은영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공부한다고 되겠느냐’며 공부를 안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들이 있다. 사실 이 아이들의 마음속에는 공부를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그런데 왜 안 하는 걸까?

이 아이들은 공부 내지 시험과 관련해서 제대로 해보기도 전에 미리 부정적인 결과를 예측한다. 조금 해본 상태이거나 아직 시작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머릿속으로 먼저 단계를 진행시킨다. ‘이렇게 해서 되겠어?’ ‘해 봤자 점수가 오르지도 않을 텐데 뭐. 우리 학교 시험문제 얼마나 어려운데.’ 이런 식이다. 그래서 포기해 버린다.

제대로 해보지 않기 때문에 결과는 둘째 치고 이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을 놓치고 만다. 하다 보면 실력이 쌓이고, 요령도 생기고, 참아내는 능력도 생기고,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있는 연습도 되는 건데 이 아이들은 그 과정을 밟지 못하는 것이다. 중간 절차와 과정을 밟지 않으면 결과는 반드시 나쁘다. 아이들은 결과가 나쁘면 자기 생각이 맞았다고 생각한다. 이번 시험을 위해서 100 정도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면, 80만큼만 실행해도 부정적인 결과를 예상한다. 100을 못했기 때문에 0과 같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시험을 보기 전부터 좌절하고 포기해 버리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은 보통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에 계획을 세울 때도 목표를 굉장히 높게 잡는다. 이전에 결과가 나빴던 것까지 회복하기 위해서 ‘더 잘해야지’ 하는 마음에 목표를 더 높게 잡는 것이다. 계획도 너무 치밀하고 빡빡하게 세운다. 잠자는 시간 빼고는 화장실 가는 시간조차 모두 공부할 계획을 세운다. 무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은 실제로 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 없는 것이다. 자신이 1시간 동안 영어 문제를 얼마나 풀 수 있는지를 모른다. 마음만 앞서다 보니 굉장히 많은 분량을 잡아놓고는 하루 이틀 하고는 나자빠져 버린다.

공부란 마지막 결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간 과정에서의 성장과 발달, 그때의 경험을 통해 인내심과 좌절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 아이들은 그것을 배우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아이에게 부모가 정말 조심해야 하는 말이 있다. 하나는 “엄마(아빠)는 너 공부 못해도 돼. 너 안 해도 돼. 시험 못 봐도 엄마(아빠)는 괜찮아. 너 이렇게 괴로워하면서 할 거면 하지 마”라는 말이다. 이렇게 말하는 부모는 대개 내 아이가 공부나 시험에 지나치게 예민해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를 편하게 해주려고 하는 말이다. 그런데, 아이는 그런 식의 말이 싫다.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기 때문에 그 말을 들으면 ‘그건 엄마(아빠)가 괜찮은 거지, 나는 안 괜찮다고요’라고 생각한다.

용기를 준다고 “열심히 하면 너는 잘할 수 있어”라고 말하는 것도 썩 좋지 않다. 이 아이들은 ‘안 되는데 뭘 열심히 하라는 거야’라고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우리 부모가 나에게 몹시 기대를 하고 있구나. 내가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면 얼마나 더 기대할까? 그러면 실망할 텐데. 아예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말아야지. 그래야 기대도 안 하고 실망도 안 하겠지’라고 마음먹기도 한다. 이 아이들에게 “아니야. 지금도 늦지 않았어. 넌 마음만 먹으면 잘할 수 있어. 1등도 할 수 있어”라는 말은 오히려 용기를 앗아가는 말이다.

무엇보다 “하려면 제대로 하고 안 할 거면 하지도 마라”라는 말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All or None(전부 혹은 전무)’, ‘100이 아니면 0’이라는 식의 아이 생각을 더 강화시킨다. 목표를 높이 잡고 빡빡하게 공부하는 것이 이 아이들에게는 All이다. 만약 거기에 변수가 생겨서 조금 틀어지면 None이라고 생각해서 ‘에라, 이왕 틀어진 거 잘하긴 틀렸어. 잠이나 자자’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이런 아이들에게 ‘잘할 수 있어’, ‘안 해도 돼’, ‘제대로 해’라는 말이 좋지 않은 것은 모두 ‘결과’를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에 예민한 아이에게 결과를 가지고 조언하면 아이들의 어려움은 더 심해진다. 지난번에 75점을 받은 아이에게 “이번에는 80점만 받아볼까?”라고 얘기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눈에 보이는 결과인 점수나 석차를 운운하는 것은 학습이나 시험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아이들에게 너의 목표는 점수나 석차가 아니라는 것을 말해줘야 한다. “네가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해봐. 그게 중요한 거야. 최선을 다해도 때로는 마음에 들지 않는 결과가 나오기도 해. 인생이란 그런 거야.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한 거야. 네가 공부를 새벽 1시까지 하려고 계획을 세워놓았더라도, 몸 상태가 안 좋은 날도 있어. 그런 날은 그만큼만 하고 자는 거야. 그게 최선인 거야. 네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하면 돼. 그러면 결과가 나빠도 상관없어. 공부를 통해 네가 배워야 하는 것은 그 과정이야. 그래서 매 순간 네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해 보는 거야.” 이렇게 얘기를 해 주는 것이 좋다.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오은영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