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웅 고려대 안암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는 주말마다 아이들과 함께 농구를 즐긴다. 정 교수는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은 활동량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했다. 정 교수가 병원 인근에 있는 농구장에서 공을 다루고 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시간이 남아서 봉사 활동을 하는 건 아니다. 늘 시간에 쫓기며 산다. 환자 진료, 연구 과제 수행, 논문 작성, 학회 업무까지…. 기자와 인터뷰하는 날에도 정 교수는 새벽 수술에 이어 오전 외래 진료까지 마쳤다고 했다.
정 교수도 체력이 떨어짐을 느낀다. 설상가상으로 3년 전 콜레스테롤과 혈압 수치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운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다. 정 교수는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있을까.
● 연구실에서 ‘홈 트레이닝’
정 교수는 “운동은 습관”이라고 했다. 바쁘니까 운동하지 못한다는 답변은 핑계에 불과하다. 너무 바쁘니 시간이 생길 때만이라도 운동하는 건 어떨까. 정 교수는 ‘짬’을 내 운동하는 이런 방식에 찬성했다. 다만 앞뒤가 바뀌었다고 했다. 짬이 날 때 운동하는 게 아니라 운동하기 위해 일부러 짬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오후 6~7시를 운동하는 시간으로 정했다. 그 전의 2시간은 바쁘게 지나간다. 오후 5시 무렵 병원 구내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마치고, 6시까지 환자 회진이나 밀린 업무를 모두 끝낸다.
운동은 주로 연구실에서 한다. 정 교수는 “연구실에 소박한 홈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치했다”며 웃었다. 거창하지는 않다. 실내 자전거가 설치돼 있고, 바닥에는 운동용 매트가 깔려 있다.
먼저 10여 분 동안 자전거를 탄다. 그 다음에는 코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종목 위주로 20여 분 동안 운동한다. 모든 운동을 끝내는 데는 약 30분이 소요된다. 정 교수는 최소한 매주 2,3회 이상 이 운동을 한다. 병원 업무가 늦게 끝나거나 갑작스러운 약속 때문에 이 시간대를 놓칠 수도 있다. 그럴 때는 오후 9~10시에 집에서 똑같이 운동한다.
● 평생 취미, 농구로 활동량 보충
정철웅 고려대 안암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는 주말마다 아이들과 함께 농구를 즐긴다. 정 교수는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은 활동량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했다. 정 교수가 병원 인근에 있는 농구장에서 공을 다루고 있다. 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정 교수의 키는 183㎝이다. 초등학교 때부터 키가 컸다고 한다. 그 때문에 친구들이 늘 농구장으로 불러냈다. 중학생이 된 후로는 시간만 나면 농구를 했다. 사실 정 교수가 좋아해서 시작한 운동이 아니었다. 그는 자신이 민첩하거나 날쌔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그래도 막상 해 보니 농구만큼 재미있는 운동이 없는 것 같았다.
2년 후 정 교수는 귀국했다. 이후 다시 바빠졌다. 농구를 즐길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함께 농구공을 튕길 동료들을 모으는 것도 쉽지 않았다. 게다가 나이 마흔을 넘기면서 농구를 계속 하는 게 좋은지 의문도 들었다. 심폐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부상의 우려도 있고 무릎과 어깨 관절이 특히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농구와 서서히 멀어져갔다. 그러다가 4,5년 전부터 다시 농구에 빠져 들었다. 함께 농구를 즐기는 멤버들은 다름 아닌 가족이었다. 이후 농구는 평생 취미가 됐다.
● ‘아이와 놀기’, 또 다른 최고의 운동법
정 교수는 고1, 고3과 초등 6학년 등 세 명의 아이를 두고 있다. 아빠가 농구를 좋아해서인지 아이들도 모두 농구를 좋아한다. 둘째 아이는 학교 농구 팀에서, 막내 아이는 프로농구의 유소년 농구팀에서 뛰고 있다. 아이들과 놀아주다 보니 정 교수의 의지와 무관하게 휴일마다 농구를 하게 됐다. 대략 30분 정도 뛰는데, 아무리 아이들과의 경기라 해도 운동량이 적지 않다. 운동을 끝낼 쯤에는 온 몸이 땀으로 범벅이 될 정도다.
서울 근교에 있는 아이들의 외할아버지 댁에 농구대를 설치했다. 덕분에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매주 휴일에 시골에 간다. 가끔 아이들의 삼촌 가족까지 모이면 3대 3 농구가 가능해진단다.
정 교수는 주말 산행이나 골프를 거의 하지 않는다. 혼자만 즐기는 운동은 가족에게 부담만 될 뿐이란 생각에서다. 그보다는 가족과 함께 시골집에 가서 쉬면서 운동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정 교수는 “가족과 유대감도 높이고 운동량도 높이는 일석이조의 건강법이 아니겠는가”라며 웃었다. 이처럼 가족과 함께 생활 속에서 즐기면서 운동하는 것, 바로 정 교수의 두 번째 운동 철학이다.
정철웅 교수는 연구실에 실내 자전거 등 장비를 비치해 오후 6~7시 사이에 맞춰 운동한다. 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첫째, 직장인의 경우 낮과 이른 저녁 시간대에 운동할 시간을 내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운동할 시간대는 미리 2개 이상 정하도록 한다. 자신의 생활 패턴을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가령 출근하기 전인 오전 6~7시와 퇴근하고 저녁 식사를 끝낸 후인 오후 9~10시로 잡는 것도 방법이다.
둘째, 운동 프로그램을 짠다. 이 때는 20~30분의 짧은 시간에 마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게 좋다. 그래야 오래 지속할 수 있다. 정 교수는 “운동 프로그램을 짜주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정 교수의 경우 △줄 없이 줄넘기하기 △천장보고 누워서 발차기 △누운 채로 발뒤꿈치 잡기 △스쾃 △팔굽혀펴기 △등 뒤로 의자에 팔 짚고 팔굽혀펴기(트리셉스 체어딥) △크런치 △런지 △플랭크 등 9가지 동작을 이어 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정철웅 교수는 연구실에 실내 자전거 등 장비를 비치해 오후 6~7시 사이에 맞춰 운동한다. 고려대 안암병원 제공
셋째, 모자란 운동량은 평소 생활에서 보충한다. 정 교수는 3개 층 이하의 엘리베이터는 가급적 타지 않는다. 자투리 시간이 생기면 산책을 할 때도 있다. 정 교수는 “굳이 헬스클럽에 가지 않더라도 본인이 좋아하고 실천할 수 있는 항목을 정해 하나씩 추가해 나가면 운동량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넷째, 주말은 가급적 약속을 줄이고 가족과 어울린다. 운동 종목을 정할 때는 아이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게 좋다. 정 교수는 “가족과의 주말 운동은 운동 효과를 떠나서 가족의 유대감을 키워 정신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가급적 매주, 못해도 2주에 한 번은 ‘가족 운동’을 할 것을 권했다.
김상훈 기자 core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