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 쓰레기 줍는 ‘세이브제주바다’ 전 세계가 해양 쓰레기 문제 “쓰레기 줍기로 나 자신 돌아보고 바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바다 나들이를 계획하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푸른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는 쳐다만 봐도 가슴이 뻥 뚫리는 것처럼 기분 좋아지는 순간을 선사하죠. 그러나 자세히 둘러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해안가 돌 구석구석에 숨겨진 음료수 컵, 캠핑이나 낚시를 하고 버리고 간 음식물 쓰레기, 해파리인 듯 떠다니는 비닐봉투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서죠. 바다는 마구잡이로 버려진 쓰레기들의 종착지가 된 지 오래입니다.
바닷가에 버려진 낚싯줄과 병뚜껑, 칫솔, 일회용 물티슈 뚜껑 등으로 만든 거북이 모양 ‘정크아트(폐기물로 만든 작품)’. 모두 바닷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쓰레기다. 세이브제주바다 제공
“서핑보드 위에 누워 앞으로 나가려 하는데, 팔을 저을 때마다 음식 쓰레기가 담긴 비닐봉투, 담배꽁초 같은 게 걸렸어요. 바다에 떠 있는 쓰레기에 둘러싸였던 거죠.”
한주영 ‘세이브제주바다’ 대표는 2014년 서핑을 즐기기 위해 떠났던 발리 여행을 이렇게 회상합니다. 제주에서 나고 자라 어릴 적부터 바다에서 수영하는 것을 즐겼던 한 대표. 늘 안식처 같았던 바다가 쓰레기로 몸살을 앓는 모습을 본 것은 큰 충격이었다고 하는데요. 이 경험은 한 대표가 제주 해양 쓰레기를 치우는 비영리단체 ‘세이브제주바다’를 설립하게 된 단초가 됩니다. 한 대표를 지난달 28일 전화로 만났습니다.
● “내가 할 일” 결심까지 3년
바다를 배경으로 서핑보드와 쓰레기를 들고 선 한주영 세이브제주바다 대표. 서핑과 수영을 즐기는 한 대표는 제주 바다에 뛰어들기 전에 늘 쓰레기를 줍는다. 그는 이를 “바다사용료”라고 부른다. 세이브제주바다 제공
“예전에는 잘 안 보였는데,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니 쓰레기가 더 잘 보이더라고요. 갈수록 더 많아지는 것 같았어요.”
시간이 흘러도 제주 해안가에 쓸려온 쓰레기는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그걸 보는 한 대표의 마음도 늘 불편했고요. 결국 2017년 12월, 마음 맞는 서핑 동료들과 함께 ‘세이브제주바다’를 결성해 쓰레기를 줍기 시작합니다. 한데 모여 쓰레기를 주운 뒤 일정 장소에 모아 읍사무소에 폐기물 처리 신고를 하는 방식입니다. “쓰레기 치우는 일을 ‘내가 할 수 있는 일’이고, ‘내가 해야 할 일’로 받아들여 실행하는 데 3년 정도 걸린 셈이죠.”
바다쓰레기를 줍고 있는 세이브제주바다 동료들.세이브제주바다 제공
● 생태계 위협하는 해양 쓰레기
바닷가에는 별의 별 쓰레기가 다 버려집니다. 그물, 스티로폼 부표 등 어업 쓰레기가 대표적입니다. 이 외에 많이 버려지는 것은 일회용 플라스틱입니다. “음료와 생수 페트병이 가장 많아요. 그 다음으로는 빨대, 그리고 비닐봉투, 담배꽁초 순인 것 같아요.” 이 뿐 아닙니다. 한 대표는 옷, 화장품, 가전제품, 마스크, 운동기구 등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모든 물건들이 바닷가에서 발견된다고 말합니다. “오늘 오전에는 요가 매트도 주웠는걸요. 없는 게 없어요,”
해양 쓰레기로 인한 문제는 비단 제주만 겪는 일이 아닙니다.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은 “2050년이 되면 무게 기준으로 바닷속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해 충격을 안겨준 바 있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을 3억1100만t 으로 추산했는데 2050년이면 11억2400만t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이었습니다. 보고서는 플라스틱 제품의 약 5% 만 제대로 수거돼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마구 버려져 하천과 강을 따라 바다로 떠내려가는 문제를 꼬집었습니다.
바다로 떠내려간 쓰레기들은 녹지 않고 닳으면서 크기가 작아진다. 특히 크기가 작아진 미세플라스틱은 바다를 오염시킬 뿐 아니라 먹이로 착각한 바다 생물들의 생태계를 해치고 결국엔 사람의 몸에도 들어온다. 세이브제주바다 제공
최근에는 WWF(세계자연기금)가 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이 현재의 2배 이상, 2050년에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가 현재의 4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21세기 말까지 그린란드 면적의 2.5배가 넘는 해양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 양이 현재의 50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도 담겼습니다.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높아지면 바다 생물 개체 수가 줄고, 최악의 경우 멸종할 수도 있습니다. 해양 쓰레기는 단순히 양이 많아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원인이기에 심각한 문제로 지적됩니다.
● 행동하게 하는 ‘비치클린’
세이브제주바다는 비치클린이라는 이름으로 바다 정화활동을 합니다.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신청 받아 비치클린을 진행합니다. 주로 단체 비치클린을 많이 진행하지만 2020년 이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강해졌을 때는 개인 비치클린으로 바꿔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비치클린을 신청한 사람들이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세이브제주바다 센터에서 장갑과 집게, 포대 등을 받아 쓰레기를 주운 뒤 반납하고 돌아가는 방식이죠. 이런 식으로 비치클린에 참여한 이는 지금까지 3500여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비치클린에 참여한 어린이들. 가족 단위로 오기도 하고, 학교나 기업에서 단체로 오는 경우도 많다. 쓰레기를 줍는 경험은 환경을 위해 행동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세이브제주바다 제공
“기업이나 학교에서 단체로 오기도 하고, 가족 단위로 오는 경우도 많아요. 쓰레기로 덮여있던 해변이 깨끗해지는 걸 보면서 보람을 느꼈다는 얘기를 많이 하시죠.”
비치클린은 단순히 쓰레기를 치우는 일이 아닙니다. 사람들의 마음에 여운을 남기는 일입니다. 특히 과거 한 대표가 그랬던 것처럼, 친환경적으로 살고 싶지만 적극 행동하기에 망설였던 사람들에게는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됩니다.
“텀블러를 들고 다니고, 비닐봉투 대신 장바구니를 쓰는 사람들은 흔히 ‘유난이다’ ‘너 혼자 한다고 뭐가 달라지니’란 소리를 들어요. 그런데 여기 와 보면 그렇지 않죠. 많은 사람들이 쓰레기를 줍기 위해 집게를 들고 허리를 숙여요. 환경을 위해 고민하고 작은 실천이라도 하고 싶은 사람이 나 혼자가 아니란 걸 깨닫는 거죠.”
● 쓰레기를 다 주울 수는 없지만
쓰레기를 치워도 다음날이면 파도를 타고 또 다른 쓰레기가 밀려옵니다. 바다에는 국경이 없어 우리나라 제품 뿐 아니라 다른 나라 제품도 뒤섞여 오기도 하죠. 사람 몇몇이 발 벗고 나선다고 해결될 일은 아닙니다. 이런 점에 대해 한 대표는 “진정한 변화는 정부와 기업이 변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내가 만드는 쉽고 가장 빠른 변화는 ‘나를 바꾸는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비치클린은 나 자신을 돌아보고 행동을 바꾸는 교육 효과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비치클린을 하다 보면 얼마나 많은 쓰레기들이 나오는 지 실감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일상에서 쓰고 버린 물건들이 쓰레기로 버려져 자연을 오염시키는 모습에 충격을 받는다고 합니다. 한 대표도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칫솔을 여러 개 주운 날이 있었어요. 그리고 집에 와서 보니 제가 그(플라스틱) 칫솔을 쓰는 거에요. ‘도대체 어떤 나쁜 사람이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지’ 하고 투덜거렸지만, 쉽게 물건을 사고 버렸던 내가 결국은 쓰레기를 만드는 사람이었던 거죠.”
바다에서 흔히 발견되는 플라스틱 칫솔들.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모든 제품들이 바다에서 쓰레기로 발견된다. 세이브제주바다 제공
쓰레기를 주우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면 생활이 바뀌게 됩니다. 세이브제주바다는 일회용 포장재를 사용하는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해 장을 보는 ‘용기내 캠페인’, 포장재 없는 제품을 쓰는 ‘무포장 제품 쓰기’, 텀블러와 에코백 사용하기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활동을 SNS를 통해 적극 알리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는 해양 폐기물로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캠핑용 박스를 만들어 판매하며 해양 폐기물에 대한 경각심을 알리기도 했습니다. 또 5월 중순부터는 환경단체 자원순환사회연대와 함께 비치클린 참가자 중 신청자를 받아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합니다. 한 대표는 “쓰레기를 주우면 우리 일상이 보이고 고민이 시작된다”며 “비치클린이 변화를 만들어 나가는 교육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전해왔습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