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는 목마름으로’으로 유명한 반체체 저항시인 김지하가 8일 별세했다. 향년 81세.
8일 오후 토지문화재단에 따르면 김 시인은 최근 1년여 동안 투병생활을 한 끝에 이날 오후 원주 자택에서 타계했다.
고인은 독재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온 양심적인 행동인으로 유명했다.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비’, ‘녹두꽃’ 등 5편의 시를 발표하며 공식 등단했다. 본명은 영일(英一)이며, 지하(芝河)는 필명으로 ‘지하에서 활동한다’는 뜻을 안고 있다.
1941년 2월 4일 전라남도 목포의 동학농민운동가 집안에서 태어나 원주로 이사 소년기를 보냈다. 원주중학교 재학 중 천주교 원주교구의 지학순(池學淳) 주교와 인연을 맺은 뒤 서울 중동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문학의 길로 들어섰다.
◆1970년대 민족문학의 상징…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 언도 받기도
1970년대 민족문학의 상징이자 유신 독재에 대한 저항운동의 중심으로서 도피와 유랑, 투옥과 고문, 사형선고와 무기징역, 사면과 석방 등 형극의 길을 걸어왔다.
1959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입학한 이듬해 4·19혁명에 참가한 뒤, 민족통일전국학생연맹 남쪽 학생 대표로 활동하면서 학생운동에 앞장섰다. 5·16군사정변 이후에는 수배를 피해 항만의 인부나 광부 등으로 일하며 도피 생활을 했다.
1963년 3월 ‘목포문학’에 김지하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시‘저녁 이야기’가 처음으로 활자화되었고, 같은 달 2년 동안의 도피 생활을 청산하고 복학해 이듬해부터 전투적인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1964년 6월 ‘서울대학교 6·3한일굴욕회담반대 학생총연합회’ 소속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4개월의 수감 끝에 풀려난 뒤, 1966년 8월 7년 6개월 만에 대학교를 졸업했다.
1970년 12월 목포를 시적 포티프로 삼은 첫시집 ‘황토’를 발간했다. 1971년 이후에는 천주교 원주교구를 중심으로 계속 저항시 발표 및 저항운동에 전념하면서 연행과 석방, 도피 생활을 거듭하던 중 1974년 4월 체포되어 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1주일 뒤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1980년 형 집행정지로 풀려났다.
감옥에서 석방되어 1982년 두 번째 시집 ‘타는 목마름으로’를 발간했다.
신 새벽 뒷골목에/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내 머리는 너를 잊은지 오래/내 발길은 너를 잊은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가닥 있어/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민주주의여/(중략)
1975년에 발표된 이 시는 당시 민주주의를 갈망하던 대학생과 지식인 등의 민중들에게 큰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 ‘10월유신’이라 불린 비상체제하의 질식할 듯한 시대적 상황을 개인적 서정으로 육화시켜 문학적 감성으로 선명하게 집약시킨 사회참여시다. 암담한 현실에 절규하고, 민주주의를 갈망하며 폭력적이고 반민주주의적인 사회현실에 대해 흐느끼는듯 하면서 분노가 끓어오르는 듯한 시로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1990년대에는 1970년대의 활기에 찬 저항시와는 달리 고요하면서도 축약과 절제, 관조의 분위기가 배어나는 ‘일산 시첩’ 등 내면의 시 세계를 보여주는 등 1998년부터 율려학회를 발족해 율려사상과 신인간운동을 주창하는 등 새로운 형태의 민족문화운동을 전개했다.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대…2018년 등단 50년 기념 출간 시집 마지막 유작
1975년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대 되기도 했다. 같은 해 감옥에서 아시아·아프리카작가회의로부터 로터스상, 1981년 세계시인대회로부터 위대한 시인상과 브루노 크라이스키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시인의 반열에 오른 최초의 문인으로 기록되어있다. 2002년 제14회 정지용문학상, 제10회 대산문학상, 제17회 만해문학상, 2003년 제11회 공초문학상, 2005년 제10회 시와 시학상 작품상, 2006년 제10회 만해대상, 2011년 제2회 민세상 등을 받았다.
고인은 2012년 대선에서 유신시대 자신과 대립했던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 후보 지지를 선언해 ‘변절’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또 2018년 언론매체와 인터뷰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것을 잘못된 판단이었다며 촛불집회 ·미투 운동을 긍정적인 견해를 전해 주목 받기도 했다. 그러나 현 문재인 정부에는 여전히 비판적인 모습을 취했다.
1993년 서강대학교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2006년 제주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명지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동국대학교, 원광대학교에서 석좌교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좌교수를 지냈다.
고인의 생전 마지막 저작은 지난 2018년 등단 50년을 기념해 출간한 시집 ‘흰 그늘’과 산문집 ‘우주생명학’이다. 김지하의 사회사상, 철학사상, 미학사상을 총정리한 ‘김지하전집 (전3권)’(2002)이 간행된 바 있다.
고인의 유족으로는 장남 김원보(작가)씨와 차남 세희(토지문화재단 이사장 겸 토지문화관 관장)씨가 있다. 빈소는 9일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