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덕 산업1부 차장
삼성전자 노조는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을 포함해 4개가 있다. 이들은 지난해 8월 공동교섭단을 꾸린 뒤 사측과 임금 교섭에 나섰다. 15차례에 걸친 교섭에서 진전이 없자 올해 2월 쟁의권까지 획득했다. 여차하면 파업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삼성전자 노조의 요구사항은 당연히 더 많이 받고 더 쉬고 싶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봉 1000만 원 일괄 인상, 영업이익 25%만큼의 성과급 지급, 자사주 지급, 코로나 격려금, 유급휴일 도입 등이다. 회사로서는 당혹스러운 수준이다.
가장 싸늘한 시선을 보내는 건 주주들이다. 3월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한 주주는 “노조가 영업이익의 20% 이상을 요구하는데 삼성전자 주식을 사랑할 수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노조에 발목을 잡히지 말라”는 직접적 요구도 나왔다고 한다. 해외 투자자들 사이에서 제기되는 우려도 회사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주총 직후 경계현 반도체(DS)부문장(대표이사 사장)이 직접 노조를 만났지만 소득은 없었다. 노조는 오히려 회사 대표이사가 아닌 그룹 총수와의 면담을 요구했고, 지난달 13일부터 자택 앞 농성에 들어갔다.
시선이 곱지 않은 또 다른 이들은 삼성 내 동료들이다. 삼성전자 노조 주장을 그대로 따르더라도 현재 조합원 수는 6000명 정도다. 전체 11만여 명의 5%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이들은 노사협의회의 임금 인상 합의와 관련해 이달 초 회사를 고발했다. 단체교섭권은 노조에만 있는데 삼성전자가 노사협의회를 통해 올해 임금 협상을 마무리했다는 주장이다. 결국 5%의 인원이 전체를 대변하겠다는 뜻이다. 노조는 올해는커녕 지난해 임금 교섭마저도 결론을 내지 않고 있다. 노조 스스로 대표성을 주장하지만 동료들을 대표할 의지는 없어 보인다는 게 삼성전자 비노조 직원들의 생각이다. 자칫 노조의 고발로 인해 올해 임금 교섭 결과 적용이 늦어지기라도 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이들도 있다.
노조를 만들어 임금을 올려 달라, 복리후생 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요구하는 건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다. 건강한 노조는 회사를 발전시키는 한 축이기도 하다.
김창덕 산업1부 차장 drake00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