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왼쪽)과 시진핑 중국국가주석. © News1
북한은 지난 2년여 간 주민 가운데 확진자 1명도 없는 ‘코로나19 청정국’임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북한은 12일 관영매체 보도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변이 ‘스텔스 오미크론’ 확진자가 발생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최대 비상방역체계’로 전환했음을 알렸다.
그리고 하루 뒤 북한은 지난달 말부터 벌써 35만여명의 발열 증상자가 전국에서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자 1명을 포함한 6명이 숨졌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핵·미사일 개발에 따른 대북제재 장기화 등의 여파로 주민들이 심각한 경제난과 민생고를 겪는 북한에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창궐할 경우 최도지도자인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의 지도력마저 흔들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도 “코로나19 발생 전에 학계에선 북한 주민들의 ‘봉기’ 가능성에 대한 유력 시나리오로 경제난과 감염병이 겹칠 경우를 점쳤다”며 “김 총비서는 이를 ‘체제 위협’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김 총비서가 12일 새벽에 정치국 회의를 개최한 것도 그런 방증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자존심’이 강한 북한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도움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거나 설령 제의가 오더라도 이를 즉각적으로 수용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의견이다.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 (조선중앙TV 캡처)
다만 북한 당국이 중국산 코로나19 백신보다는 화이자·모더나 등 미국산 백신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단 점에서 중국으로부터의 지원은 마스크 등 일부 방역물자에 한정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북한이 코로나19 백신을 필요로 한다면 어떤 식으로든 미국과의 ‘접촉’을 시도할 것”이란 얘기다.
우리 대통령실도 13일 ‘북한에 코로나19 백신과 의약품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21일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런 가운데 미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현재로선 북한과 (코로나19) 백신을 공유할 계획이 없다”면서도 “우린 가장 취약한 북한 주민들에게 중요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계속 지지할 것”이란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도 ‘자력갱생’ ‘정면 돌파’를 기치로 외부의 도움없이 코로나19 위기를 타개하려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