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구려의 잔인했던 5월[임용한의 전쟁사]〈212〉

입력 | 2022-05-17 03:00:00


645년 음력 3월 당나라 태종은 친히 대군을 이끌고 요동에 도착했다. 숙원이던 고구려 침공을 위해서였다. 처음에는 승승장구했다. 수나라가 4번 침공하는 동안 단 한 번도 함락된 적이 없던 요동성이 한 번 공격에 떨어졌다. 개모성, 백암성이 함락당하면서 고구려 1선 방어선을 돌파하고, 2차 방어선인 압록강까지 침투할 기세였다. 이때가 5, 6월 무렵이었다. 당황한 고구려는 1선에서 당군을 격멸하기 위해 대군을 내보냈는데, 주필산 전투에서 그만 대패하고 말았다. 하지만 마지막 남은 보루였던 안시성이 항복을 거부하고 끝까지 싸웠다. 음력 7월에 시작한 공격은 3개월을 끌었지만 안시성은 넘어가지 않았다. 그사이에 당군이 계획했던 침공의 시간이 다 소모돼 버렸다. 아무리 강대국이라도 이런 전면전을 무한정 지속할 수는 없다. 태종은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소년 시절부터 참전해서 평생 화려한 승리와 명성을 쌓았던 태종에게 고구려 원정의 실패는 치욕 중의 치욕이었다. 패배를 인정할 수 없었던 그는 2년 뒤에 전면침공에서 소모전쟁으로 전략을 바꾼다. 원정군 규모를 줄이고 고구려 방어선 전면을 공격하는 대신 특정 지역만 공략하고 빠지는 방식으로 괴롭혔다. 그렇게 고구려의 체력을 소모시킨 뒤 649년 5월 다시 대대적인 2차 침공을 준비하다가 갑자기 사망했다.

죽기 직전에 태종은 고구려 침공을 중지하라는 교서를 내렸지만, 당나라는 전쟁을 계속했다. 그 결과 668년에 고구려는 멸망하고 말았지만, 과도한 전쟁과 과도하게 키워놓은 군벌 탓에 당나라도 내전으로 약해진다.

푸틴은 당 태종만큼 명장도 아니고, 직접 일선에 나서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문득 우크라이나 전쟁이 연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무모한 전쟁, 독재자의 야망에 의한 전쟁은 모두를 파멸시킨다. 6월이 되면 러시아 사회도 체감고통이 커져갈 것이다. 푸틴이 전쟁을 포기한다고 해도 세계는 최소 내년까지 심각한 식량과 경제 문제로 고난의 시기를 겪게 될 것이다. 전쟁은 모두를 희생자로 만든다. 이기적인 독재자도 그 속에 포함된다. 6월은 누구에게 가장 잔인한 한 달이 될까.



임용한 역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