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후에도 회사 회식을 한 번도 안 했어요. 회식이 없는 게 어느 새 당연해진 거 같아요.”
경기 파주시 중소기업에 다니는 7년차 직장인 이모 씨(34)는 16일 이같이 말했다. 이 씨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회식이 사라지자 일찍 귀가하게 된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제 회식하잔 얘기를 아무도 꺼내지 않는다”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2년 넘게 이어진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각종 모임을 비대면으로 하는 등 거리 두기 당시와 비슷한 일상을 이어가는 시민이 적지 않다. 코로나19 사태로 어쩔 수 없이 맞이했던 변화 중 상당 부분이 새로운 문화로 정착한 것이다.
●“꼭 모이고, 만나야 하나”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의 한 스타트업에 일하는 이모 씨(37)는 “요즘엔 부서에서 회식을 잘 하지도 않고, 혹시 하더라도 오후 10시에는 끝낸다는 암묵적 합의가 생겼다”며 “저녁시간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오후 4시부터 이른 저녁을 먹으며 회식을 하기도 한다”고 했다. 서울의 한 중견기업에 다니는 송모 씨(33)도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저녁이 있는 삶’을 경험한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아 회식은 점심에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가에서는 비대면 모임이 당연해졌다.
대학교 4학년 양모 씨(22)는 “로스쿨 진학을 준비 중인데 거리 두기가 해제된 후에도 스터디는 여전히 비대면으로 하고 있다”며 “여러 사람이 장소를 맞추는 번거로움도 없고, 스터디 마치고 잡담하는 시간도 줄어서 좋다”고 말했다. 인천에서 서울의 대학으로 통학하는 우아현 씨(25)도 “대면 모임을 하려면 학교 근처까지 가야 하는데, 길에서 버리는 시간과 비용이 부담된다”라며 “비대면 모임을 적극 제안하고 있다”고 했다.
●늦은 밤 손님 뚝…줄어드는 심야 영업
서울 중구에서 일본식 선술집을 운영하는 김영철 씨(39)는 “손님들이 일찍 귀가하는 습관이 들어서인지 오후 10, 11시면 대부분 집에 돌아간다”며 “코로나19 이전에는 오전 2시까지 영업을 했는데 요즘은 거리 두기가 풀렸지만 오후 11시 반이면 가게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개인택시 운전을 15년째 하는 박모 씨(55)는 “지난 2년 동안 늦은 밤에 손님이 거의 없어 심야 운행을 안 했는데 주정부리는 취객을 상대하지 않아도 돼 좋았다”며 “요즘 손님이 늘었다지만 취객과 다시 엮이는 게 싫어 여전히 심야 운행을 피하고 있다. 주변 기사들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거리 두기에 적응한 시민들의 일상이 코로나19 이전으로 쉽게 돌아가진 않을 거라고 보고 있다. 김중백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그동안 사람들이 ‘워라밸(일과 개인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싶어도 못 했는데, 거리 두기가 이를 가능케 한 측면이 있다”며 “상당수가 워라벨을 경험했기 때문에 회식 문화 등이 금방 이전으로 돌아갈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전혜진 기자sunrise@donga.com
남건우 기자 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