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이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미국 금리인상과 한국의 정책대응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2.5.16/뉴스1 © News1
지난 1분기 민간소비가 예상보다 부진했고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수입물가도 좋지 않은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11월 전망치(3.0%)보다 0.2%포인트(p) 낮췄다.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원자재 수급 불안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 장기화로 종전 1.7%에서 4.2%로 2.5%p 대폭 끌어올렸다.
KDI는 18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3.0%)보다 0.2%p 낮춘 2.8%로 제시했다.
KDI의 이번 전망치는 정부(3.1%), 한국은행(3.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0%), 아시아개발은행(ADB·3.1%)보다는 낮고 국제통화기금(IMF·2.5%)보다는 높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지난해 11월에 전망할 때보다 1분기 민간소비가 안 좋았던 측면이 반영됐다”며 “원자재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수입물가가 올라가고 그것이 국내경제 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한국의 금리, 시장금리가 인상된 점도 경기 하방요인으로 작용했고, 대외여건이 많이 안 좋아지면서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한 부분을 반영해서 전망치를 조정했다”고 덧붙였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는 공급 측 상승 요인이 지속되고 민간소비가 점차 회복되며 4.2%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며 “2023년에는 공급 측 요인이 점차 축소되면서 2.2% 상승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3.7%로 지난해 하반기 경제전망 당시(3.9%)와 비교해 0.2%p 낮아졌다.
1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에서 컨테이너 선적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2.5.1/뉴스1 © News1
설비투자는 기존 3.2% 증가에서 4.0% 감소로 하락 반전했다. 반도체산업을 중심으로 한 급등세가 조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올해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건설투자 역시 2.4% 증가에서 1.3%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
KDI는 내년 성장률 역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수출 증가세 둔화 등을 이유로 올해보다 못한 2.3%로 제시했다.
KDI는 “수출과 수입은 국가 간 인적 이동이 점진적으로 재개되며 서비스 부문에서 개선됨에도 불구하고, 대외 여건의 악화로 상품 부문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고 밝혔다.
다만 소비자 물가는 국제유가가 안정되면서 2.2%로 상승률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2% 전망에 비하면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진다는 얘기다.
민간소비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가운데 재정지원의 효과가 반영되면서 올해 서비스소비를 중심으로 반등한 후 내년에도 견실한 회복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취업자 수는 양호한 고용 여건을 유지하겠으나 올해 큰 폭으로 증가했던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폭이 12만명으로 축소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위험 요인도 많다. 원자재 수급 불안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장기화하거나 중국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수출을 중심으로 우리 경제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높다고 KDI는 관측했다.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되고 경제기초여건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 회복세가 제약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