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충북 청주 질병관리청 긴급상황센터를 방문해 백경란 질병관리청장과 함께 상황실을 둘러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 대통령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바이오 헬스산업의 성장도 이끌 생각이다. 이를 위해 방역과 보건의료, 식의약 컨트롤타워에는 여성 전문가들을 배치해 전문역량 발휘를 기대하는 모양새다.
◇“국민, 일상 영위할 수 있도록 과학방역이 ‘균형’ 잡아야”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충북 청주 질병관리청 긴급상황센터에서 열린 전문가 화상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에 질병청은 Δ활용 가능한 최대한의 정보와 근거 기반 Δ전문가 집단 지성 활용 Δ인구집단 특성, 행동 양식, 수용성 고려라는 원칙에 따른 ‘과학방역’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최우선으로는 ‘데이터’의 생산·분석 역량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질병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다부처 협력과제인 144억원 규모 ‘인공지능(AI) 융합 신규 감염병 대응 시스템 사업’에 따라 올해 하반기 한국과학기술원(KIST)에서 슈퍼컴퓨터를 구매하고 최적화 작업을 거쳐 내년 초 도입할 계획이다.
그동안 수리모형으로 감염병 유행을 예측했지만, 슈퍼컴퓨터를 도입하면 AI 기반 예측 모형 등 더욱 다양하고, 정밀한 예측 모형을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민간 기관들과 전 국민 규모 모델링, 사회·환경 변수 반영, 정책효과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겠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데이터에 기반한 전문가 중심 과학방역 체계의 중요성을 늘 강조해왔다. 국민 생명, 건강을 보호함과 아울러 국민이 불편 없이 경제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균형적 접근이 필요하며 과학방역이 균형을 잡아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문기구가 밝힌 정책 제언은 방역정책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보고되며, 중대본은 소관 부처와 검토·조율 후 정책을 최종 심의한다. 전문가 제언 내용과 부처 검토 결과는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자문기구 위원은 학회 추천을 받거나 학문 업적이 검증된 전문가로 선발하나, 대표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격 요건을 정할 방침이다. 전 정부에서도 일상회복지원위원회가 있었지지만, 이해충돌과 논쟁이 발생했다는 한계점을 고려한 선택이다.
새 자문기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전문가들의 합의된 의견을 중대본에 제시한다는 점이 일상회복지원위원회와 다르다. 다만 정부는 새 자문기구에도 경제, 사회문화 전문가는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규제 혁파 등 ‘산업육성’ 의지 보이며 ‘여성 인재’ 깜짝 발탁
김승희 복지부장관 후보자, 백경란 질병청장, 오유경 식약처장 © News1
정부는 앞으로 바이오뱅크의 경쟁력이 ‘제한된 시간에 최대한의 자원을 확보하는 능력’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질병청은 범부처 협업을 통해 중증 난치질환, 암, 만성질환 등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바이오뱅크에는 총 184억원이 투입돼 4층 규모에 1618평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은 2024년 시작을 목표로 1조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바이오뱅크는 바이오헬스산업의 핵심 인프라”라며 “정부는 바이오 산업의 핵심 인프라 투자를 늘려 기업의 연구 개발비 부담을 줄일 것”이라고 했다. 질병청에는 민간 연구개발과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도록 관련 제도와 규제를 적극 개선하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정호영 후보자 낙마 이후의 새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김승희 전 국회의원을 지명하고 신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으로는 오유경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장을 발탁했다.
김승희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과해 정식 임명된다면 이들은 백경란 질병청장과 함께 ‘과학방역’과 바이오헬스 산업 진흥을 위해 공조해야 한다. 이들 모두 서울대 의대와 약대 출신 여성이라 눈길을 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여성 후보자를 우선 검토한 게 맞다”라면서 “그 방향이 맞다고 대통령이 보고 계시다”고 했다. 다만 다른 고위 관계자는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게 (오늘 지명된 후보자들은) 전문성을 겸비한 여성”이라고 부연했다.
성별만이라기 보다는 전문성이 높이 평가된 것이라는 의미다. 코로나19를 비롯한 보건의료, 식의약 분야 현안에는 모두 직능단체 또는 현장 의견과 업계 현실이 잘 반영되느냐가 관건이라 이들의 경력과 전문성이 어떻게 발휘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