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김창경 한양대 창의융합교육원 교수를 특별보좌관으로 위촉했다. 대통령의 특별보좌관 자리는 ‘장관급’으로 대통령실 수석(차관급)보다 급이 높다.
26일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김 교수는 교육과학기술특보, 이 전 수석은 대외협력특보에 위촉됐다”고 밝혔다.
현재 두 사람은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13층에서 근무 중이다. 대통령실 건물은 여전히 공사가 진행 중인데 이 때문에 아직 이들이 들어올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두 특보는 6월 중순부터 용산 대통령실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동아일보에서 정치부장, 논설위원을 지낸 이 전 수석은 2007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의 공보특별보좌역으로 임명되며 정치에 입문했다.
이 전 수석은 이 전 대통령 청와대에서 대통령실 홍보수석비서관, 대통령 언론특별보좌관, 이후 외교통상부 언론문화협력 특임대사를 지냈다.
김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로 활약했다.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과학기술비서관을 지낸 뒤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에 발탁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는 인수위원으로 합류해 핵심 공약인 ‘디지털 플랫폼 정부’ 공약을 설계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슬림 조직을 표방하며 청와대의 ‘3실장 8수석’ 체제를 ‘2실장 5수석 1기획관’ 체제로 축소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과학기술보좌관은 경제수석실 산하의 과학기술비서관으로, 보직이 이전에 비해 낮아졌다. 과학 홀대론과 함께 안 전 위원장과의 공동정부 약속을 어겼다는 비판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번 특보 임명을 통해 윤 대통령은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특보 위촉으로 인해 윤 대통령의 ‘슬림 조직’이 비대해지고 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명박 정부는 여성, 지방행정, 과학기술, 국민통합 등 여러 명목의 특보를 위촉했으나 이들의 모호한 역할로 인해 실효성 문제가 일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현재 두 특보 외에 추가로 특보를 위촉할 계획은 없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