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고3 유권자, 전국에 21만명…“교육감, 내 손으로 뽑아요”

입력 | 2022-05-31 13:08:00


자신의 손으로 첫 교육감을 뽑는 청소년 유권자들 사이에서 자신들을 위한 공약을 찾아볼 수 없다며 실망스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차라리 선거를 포기하겠다는 학생도 있다.

31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기준 이번 선거에서 투표할 수 있는 만 18세 유권자(2004년 6월2일 이전 출생)는 총 21만4617명이다.

이들은 지난 2019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권 연령이 만 19세에서 18세로 조정돼 이번이 첫 교육감 선거부터 투표할 수 있게 됐다.

전체 선거인(4430만3449명·행정안전부 집계) 중 0.5%에 불과하지만, 교육감 당선자가 집행할 정책의 당사자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만 18세 유권자들은 청소년을 위한 공약은 커녕 후보들의 단일화 이전투구나 막말, 욕설이 계속된다며 아쉬움을 보였다.

서울 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최모(18)양은 “공보물을 봐도 후보들 중에 청소년들의 고민을 제대로 알고 있다고 느껴지는 부분은 없었다”며 “이런 공약들이 과연 얼마나 우리나라 교육 체계를 실질적으로 바꿀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인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최양은 “욕설 파문과 같은 보도를 보고 나서 ‘뽑을 사람이 정말 없구나’라는 생각이 좀 강하게 들었던 것 같다”며 “7장의 투표용지에 기표해야 하지만 교육감 표가 제일 어렵다”고 했다.

서울 한 특성화고에 재학 중인 이모(18)군도 “학생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된 공약은 있는지에 대해 회의감이 들었다”며 “교내 인권교육을 없애겠다는 공약을 보고 어떤 학생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걸까란 생각도 했다”고 밝혔다.

이군은 특히 서울교육감 선거 후보들을 언급하며 “학생들의 교육을 책임져야 하는 교육감으로 선거 과정에서 정의롭지 못한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많이 실망했다”고 말했다.

선거교육을 학교에서 충실히 받지 못했다는 아쉬움도 나온다. 이군은 “고1때 통합사회 과목에서 선거 관련 내용을 간략히 배우지만 투표소에 가서 도장을 찍는 데까지 필요한 정보는 많이 부족하다”며 “정보가 부족해서 투표하지 않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군은 “이번 지선에 후보 몇 명을 뽑는지, 교육감은 무슨 역할을 하는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친구가 많다”며 “적어도 선거제도에 대한 교육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특정 선거를 위한 교육보다는 참정권 교육처럼 더 넓은 의미의 참여형 프로그램들을 개발 중”이라고 해명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원의 정치적 중립 의무 때문에 직접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제도에 대한 완화와 동시에 선거교육이라는 또 다른 업무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현장 의견 수렴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