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우리나라와 미국·일본이 당장 3일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시작으로 국제사회에서 대북 공조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이달 유엔군축회의(CD) 순회의장국을 맡아 2일(현지시간) 첫 본회의를 주재할 예정이어서 이를 통해 나올 대외메시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유엔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 추가 대북제재 결의안을 부결시킨 중국·러시아의 행보 또한 주목할 부분이다.
이와 관련 미 국무부는 김 대표가 이번 방한 및 3국 간 협의를 통해 “북한과의 대화를 모색하는 한편, 북한의 불법적 대량살상무기(WMD) 및 탄도미사일 개발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지속 협력한다는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주엔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도 서울에서 만날 예정이다.
또 이달 10~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방위상이 참석하는 한미일 국방장관회담도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안팎에선 한미일 3국이 이 같은 각급 회의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3국 간 안보협력 강화 방안을 구체화해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평양 노동신문=뉴스1
중국의 경우 현재 경제·외교·군사·안보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미국과 패권경쟁을 벌이고 있어 “북한 문제를 대미(對美) 압박 수단의 하나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러시아 또한 지난 2월 우크라이나 무력침공 개시 이후 미국 등 서방국가들과의 갈등이 증폭되면서 북한 문제를 ‘수수방관’하는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으로는 북한·중국 등 역내 안보위협에 따른 한미일 3국 간 밀착 구도가 공고해지고, 북한도 중국·러시아와 더 단합해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한미일 대(對) 북중러’ 간의 신(新)냉전 구도가 현저해질 것이란 얘기다.
그러나 미 국무부는 “북한이 주재하는 모든 공식 및 비공식 군축회의에 나가는 미국 대표는 대사급 이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다. 미 정부 주요 인사는 북한이 주재하는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다만 미 국무부는 “군축회의 회원국들이 검증 가능한 핵분열물질 생산금지 조약에 대한 협상을 시작하는데 동의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미국이 군축회의에 계속 관여하는 게 중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