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의사이자 미술평론가 김동화씨 ‘그림, 그 사람’ 책으로 화가 8인 작품 속의 무의식 분석 이중섭, 모성적 소에 남성 이미지… 어머니와 하나 되려는 욕망 반영 박수근 ‘앉아 있는 여인’ 등 작품… 감정 억압-인내, 20번 덧칠로 표현 황용엽 ‘인간’속엔 전쟁 상처 담겨 괴기스러운 인간 모습으로 등장
6일 신간 ‘그림, 그 사람’을 든 김동화 씨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증상을 통해 이를 촉발한 사람과 환자가 그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던 선행 요인을 역으로 찾는다”며 “화가의 그림도 일종의 증상이다. 그림을 그리기까지 어떤 내적 상태를 지녔는지 추적했다”고 말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그림 속에는 그것을 그린 사람, 즉 작가가 커튼처럼 길게 드리워져 있습니다.”
박수근(1914∼1965), 이중섭(1916∼1956) 등 한국 근대미술 거장들의 작품엔 작가의 어떠한 내면과 무의식이 녹아 있을까.
지난달 출간된 ‘그림, 그 사람’(아트북스)의 저자인 김동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겸 미술평론가(53)는 박수근 이중섭 진환 황용엽 양달석 김영덕 신학철 서용선 등 한국 근현대 화가 8명의 작품을 바탕으로 이들의 내면을 분석했다. 》
“아버지를 일찍 여읜 이중섭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랍니다. 보통학교 3, 4학년 때까지 어머니의 젖을 먹을 정도로 과도한 애착관계를 보이죠. 이는 역으로 분리불안을 낳았고, 그게 아내와의 이별을 극도로 괴로워하는 모습으로 이어졌다고 봅니다.”
그림을 통해 본 화가에게 잠재된 무의식적 힘 이중섭 ‘황소’. 어머니와의 분리 불안이 어머니와 하나가 되려는 욕망으로 발현
그림을 통해 본 화가에게 잠재된 무의식적 힘 박수근 ‘앉아 있는 여인’. 감정 누르는 억압이라는 방어기제가 덧칠하는 화법으로 발현
그림을 통해 본 화가에게 잠재된 무의식적 힘 황용엽 ‘인간’. 참전 경험이 기괴하고 감정 표현이 어려운 인간 모습으로 발현
의사인 그가 미술에 빠져든 건 신촌 세브란스병원 레지던트였던 20년 전 우연히 박수근 화집을 접하면서다.
“종로서적에서 박수근의 그림을 접했을 때 어린 시절의 향수를 느꼈어요. 강렬한 느낌에 매료됐죠.”
이후 박수근의 드로잉 ‘초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300여 점의 드로잉을 수집했고, 2019년엔 전시회도 열었다. 그는 신간을 준비하며 박수근 진환 양달석 작가의 경우 유가족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그림은 화가들의 내면이 담긴 일종의 정신적 증상입니다. 작가의 삶과 행동 전반을 통해 그 심리까지 파고들면 작가와 작품에 대해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