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안소피 피크 홈페이지
정기범 작가·프랑스 파리 거주
파리에서 여행을 하다 만난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어머니나 할머니가 해 주신 밥이 그립다 한다. 이제껏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해 주신 음식이 그립다는 사람은 본 적이 없다. 이처럼 가정에서는 대부분 여성이 요리를 하고, 많은 이들의 솔푸드(soul food)에 대한 기억 또한 어머니나 할머니에서 기인한다. 한데 이상하게도 미슐랭 가이드북,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등에 이름을 올린 세계적인 셰프 중 여성 비율은 지극히 낮다. 프랑스만 해도 600개가 넘는 스타 레스토랑 중 여성 셰프가 지휘하는 레스토랑 수는 10%에 못 미친다.
레스토랑에 남성 셰프가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로는 우선 노동 강도가 높아 남성에게 유리하다는 점이다. 프랑스 가스트로노미 레스토랑에서 가장 아래 단계인 코미부터 최고의 경지인 셰프까지 올라가는 데 보통 10∼15년이 걸리는데, 이 기간 동안 겪어야 하는 엄격한 규율 체계와 암묵적으로 행해지는 육체적, 언어적 폭력을 이겨내는 데 남성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이유도 있다. 육아의 부담 역시 상대적으로 여성 셰프가 활동하는 데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미식계는 프랑스 출신의 두 여성 셰프를 주목하고 있다. 안소피 피크는 자신이 운영하는 ‘메종피크’(사진)를 프랑스 출신 여성 셰프 중 네 번째로 미슐랭 3스타에 올려놓았다. 이 레스토랑은 2011년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에 올랐다. 럭셔리 마케터가 되기 위해 일본과 미국으로 건너가 카르티에 등에서 커리어를 쌓던 그는 23세에 아버지의 부름으로 요리계에 입문했다. 안타깝게도 3개월 후 아버지가 사망하자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룬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을 물려받아 운영했다. 연륜 부족으로 처음엔 별을 두 개나 잃었지만 2007년에 다시 미슐랭 3스타를 회복했다. 이후 레스토랑 3곳에서 추가로 미슐랭 스타를 받으며 여성 셰프로는 가장 많은 수의 미슐랭 레스토랑 셰프로 등극했다.
3년 전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마담피크에 들러 정찬을 즐겼을 때의 행복감을 지울 수 없다. 여성 셰프가 운영하는 공간답게 잘 가꾸어 놓은 테라스와 화려함과 섬세함이 느껴지는 모던하고 안락한 실내 공간, 그리고 섬세한 컬러감이 돋보이는 플레이팅과 아름다운 터치가 돋보였던 음식의 완벽한 하모니는 죽기 전 꼭 경험해야 할 식사임이 분명했다.
정기범 작가·프랑스 파리 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