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포럼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만난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러-독 천연가스 송유관 건설을 적극 추진했던 슈뢰더 전 총리는 퇴임 후 러시아 최대 국영 석유회사 이사장을 맡는 등 친러시아 행보를 보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AP 뉴시스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는 ‘석유 앞에 장사 없는’ 국제 질서가 녹아있는 길이다. 1970년대 중동이 담합해 유가를 올린 ‘오일쇼크’의 위력을 실감한 우리는 당시 주요 산유국인 이란과 가까워지려 했다. 서울시는 이란의 테헤란시장을 초청해 자매결연을 맺고 서울엔 테헤란로를, 테헤란에는 서울로를 만들었다.
박정희 정권이 1973년 미국의 만류에도 “이스라엘은 점령 지역에서 철수하라”는 친아랍 성명을 낸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당시 이스라엘이 미국을 등에 업고 아랍국들과 영토 분쟁 중인 상황에서 우리가 산유국인 아랍 쪽 편을 든 것이다. 일본도 성명에 동참했다. 아무리 가까운 혈맹이라도 석유 앞에선 후순위인 것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군의 미국 하와이 진주만 기습 공격으로 격침된 미군 버지니아 함선. 진주만=미 해군·AP 뉴시스
히틀러 역시 에너지 수급 실패로 패했던 1차 대전을 교훈 삼아 2차 대전 때는 석탄을 액화시켜 연료로 만드는 석탄액화공장 가동에 심혈을 기울였다. 독일에 맞선 연합군이 승기를 잡은 건 1944년 5월 대공세로 독일 전역의 석탄액화공장을 폭격해 히틀러의 급소를 격파하면서다. 이후 공장 가동률이 3%까지 떨어지자 두 달 만에 독일은 항복했다.
에너지를 쥔 쪽이 유리한 것은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도 다르지 않다. 요즘 우리는 전쟁을 일으켜 전 세계를 위기로 내몬 러시아가 나 홀로 승승장구하는 아이러니를 목도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은 고유가 고물가에 신음하는데, 러시아는 천연가스와 원유 수출의 호황을 누리고 있다. 그 돈으로 우크라이나에 미사일과 포탄을 퍼붓는다.
여기서 주목하게 되는 나라가 독일이다. 독일은 2월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에 가장 많은 돈을 보낸 서방 국가다. 3, 4월 두 달간 지급한 에너지 대금만 11조3000억 원(83억 유로)이다. 독일은 천연가스의 55%, 석탄의 52%, 석유의 34%를 러시아에서 수입한다. 전체 에너지원 중 약 25%가 러시아산이다.
5월 26일 독일 베를린에서 G7 환경·기후·에너지 담당 장관 회의가 열린 가운데 로버트 하벡 독일 경제·기후장관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베를린=AP 뉴시스
독일의 러시아 에너지 수입은 좋은 명분에서 시작됐다. 냉전이 한창이던 1970년대 빌리 브란트 총리는 소련과의 경제 교류를 통해 긴장을 완화한다는 동방정책을 추진했다. 후임인 헬무트 슈미트 총리도 “무역하는 사람들은 서로에게 총을 쏘지 않는다”며 에너지 수입을 늘렸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뒤이어 소련이 붕괴하자 독일 정치인들은 “상호의존 전략이 철의 장막을 걷어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소련 붕괴의 실질적 원인은 석유였다. 소련은 원유 판매가 전체 수출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었는데, 미국이 이 약점을 파고들었다. 로널드 레이건 정부는 서방 국가들과 연대해 소련산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을 줄이면서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들을 부추겨 대대적인 석유 증산에 나서게 했다. 1985년 배럴당 28달러였던 국제유가는 6개월 새 3분의 1로 폭락했다. 석유 판 돈으로 연방국을 지원하고 해외 전쟁을 감당하던 소련은 이때 입은 치명상에서 회복하지 못했다.
올 2월 독일 루브민(Lubmin)에 있는 ‘노드스트림2’ 천연가스 송유관 공사 현장. 노드스트림2는 독일이 러시아 천연가스 수입을 위해 러시아에서 발트해를 거쳐 루브민까지 1200㎞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독일은 대러 에너지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주변국들의 경고에도 이 사업을 지속하다 올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하자 중단했다. 루브민=AP 뉴시스
러시아는 최근 독일로 보내는 천연가스를 60%나 줄였다. 비상이 걸린 독일은 가장 더러운 에너지인 석탄 발전소를 재가동하며 과거로 퇴행하고 있다. 러시아가 가스관을 완전히 잠그면 제조업 중심인 독일의 경제성장률은 5%포인트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금 독일은 러시아가 언제 물을 끓일지 몰라 속 태우는 ‘냄비 속 개구리’ 신세다. 설익은 이상주의가 에너지 정책을 좌우하면 어떤 대가가 따르는지 돌아보게 된다.
20일 독일 남서부 니더라우젬에 있는 갈탄 화력발전소 냉각탑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날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네델란드 등 유럽 각국 정부는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 감축으로 에너지난이 심각해지자 석탄발전소를 재가동한다고 밝혔다. 니더라우젬=AP 뉴시스
신광영 기자 ne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