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조선 전기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관계자들이 용머리 장식기와를 살펴보고 있다. 2022.6.29/뉴스1
이 유물은 조선시대 전기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자료로 평가된다.
29일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올해 5월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발굴한 ‘취두’ 상단과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 ‘검파’(劍把)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했다.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출토된 검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뉴스1
조선 전기 검파의 발견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파가 발견되면서 건물 용마루에 올라가는 취두가 온전한 모습을 찾았고,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를 돋보이게 한 특수기와 연구에서도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
조선시대 궁궐(창덕궁 명정문) 지붕의 장식기와. (문화재청 제공)© 뉴스1
또한 경복궁 창건기 건물과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건축물의 세부 모습을 실질적으로 고증하는 유일한 자료라는 평가도 나온다.
검파는 길이 40.5㎝, 폭 16㎝, 두께 7㎝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이다.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조선 후기 궁궐인 창덕궁 인정문의 취두. 검파의 형태가 단순한 봉 형태로 돼 있다. (문화재청 제공) © 뉴스1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됐다.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 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
취두와 검파는 서울의 용산구 일대에서 만들어져 충남 이남의 왕실 관련 건물로 수송되던 중 선박이 침몰하면서 갯벌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왕의 초상을 모신 전주 경기전 등이 대표적인 왕실 관련 건물이다.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조선 전기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관계자들이 용머리 장식기와를 살펴보고 있다. 2022.6.29/뉴스1 © News1
아울러 취두의 무게 덕분에 파도에 휩씁리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김동훈 해양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취두는 충청, 전라, 경상 지방의 왕실 관련 사찰이나 행궁 등의 건축물에 사용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