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우주강국 된 한국… 우주산업 패권 경쟁 격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원들이 다누리호를 점검하고 있다.[사진 제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 우주개발은 1992년 8월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를 쏘아올리면서 시작됐다. 2020년 11월 최초 액체 추진 로켓 KSR-II를 발사했으며, 세 차례 도전 끝에 2013년 1월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를 발사했다. 당시 나로호는 러시아와 합작 개발한 것으로 아쉬움이 컸지만, 누리호는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우주발사체다.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미국과 러시아, 유럽연합, 중국, 일본, 인도에 이어 자체 실용급 위성 발사 기술을 확보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됐다.
누리호 성공에 힘입어 올여름에는 우리 기술로 만든 첫 번째 달탐사선 ‘다누리호’가 우주로 향한다. ‘다누리’는 ‘달을 모두 누리라’는 뜻이다.
다누리호 크기는 가로세로 약 2m다. 태양전지판을 펼치면 6m까지 늘어난다. 무게는 678㎏. 외부는 태양풍을 막는 검은색 특수 소재로 감싸여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고해상도 카메라, 한국천문연구원의 광시야 편광 카메라, 경희대의 자기장 측정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감마선 분광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우주 인터넷 탑재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음영카메라) 등 6가지 탐사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NASA 섀도캠 싣고 간다
약 20억~40억 년 전 달에 형성된 이후 지금까지 보존돼온 고리 모양의 슈뢰딩거 분화구.[NASA 홈페이지]
BLT궤도는 지구와 태양 등 천체의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해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경로다. 지구와 달 주위를 리본 모양으로 빙 돌아가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길지만, 연료는 25%가량 절약된다. 다누리호 무게는 본래 550㎏이었으나, NASA가 섀도캠을 탑재하자고 요청하면서 전체 무게가 120㎏ 이상 늘었다. 이로 인해 연료를 아끼는 BLT궤도를 택한 것이다.
다누리호는 NASA와 첫 하드웨어적 협력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NASA의 섀도캠은 태양 빛이 닿지 않아 우리가 볼 수 없었던 달의 ‘영구음영지역’인 극지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다. 일반 카메라에 비해 200배 이상 감도가 높은 특수 고감도 카메라라서 빛이 닿지 않는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다누리호는 우주에서 실험을 위해 BTS(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를 싣고 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우주 인터넷 탑재체는 우주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 파일, 동영상을 전송하도록 설계된 우주 인터넷 장비다. 발사팀은 음원 저작권 협의를 거쳐 우주에서 BTS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를 쏜다는 계획을 밝혔다.
다누리호를 싣고 가는 로켓은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엑스의 ‘팰컨9’이다. 팰컨9은 알려진 대로 재활용 로켓이다. 이미 5번이나 인공위성 등을 쏘아올린 뒤 돌아왔고, 이번에 여섯 번째 임무로 다누리호를 발사하게 된다. 참고로 총 15번 정도 쓸 수 있다.
지상에서는 경기 여주에 위치한 심(深)우주 지상안테나와 임무운영센터가 통제센터 역할을 한다. 이곳에 약 60명의 운영 인원이 참가해 다누리호의 궤적 수정, 궤도 진입 등 ‘운항’을 맡는다.
한국 NASA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참여
이스라엘의 소형 달탐사선 베레시트(왼쪽)[SpaceIL 홈페이지]와 인도의 무인 달탐사선 찬드라얀 2호.[인도우주연구기구 홈페이지]
한국의 첫 번째 달탐사선 다누리호 상상도.[사진 제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NASA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통해 2025년까지 달에 유인 우주선을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누리호를 개발한 한국도 영국, 이탈리아, 일본 등과 함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NASA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스페이스엑스, 블루 오리진 등 민간 상업 우주기업과도 협력 중이다. 이 기업들은 달 기지 건설과 관광사업 개발 등을 목표로 이번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가 달탐사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달의 엄청난 과학적 가치에 그 답이 있다. 달이 40억 년 전 지구에 생명체가 생겨난 시기 우주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알아내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도 있다. 달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수년간 모든 것이 변하지 않은 채 그대로 보존돼 있다. 마치 지질학적 타임캡슐과도 같은 것이다. 태양계에서 소행성과 혜성이 계속해서 공격해온 흔적인 분화구가 지구상에서는 바람과 물에 의한 침식으로 사라져갔다. 그러나 달에는 분화구가 보존돼 있다. 과학자들은 이 분화구를 연구함으로써 과거 태양계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행성들의 역사를 추론한다.
달, 지질학적 타임캡슐
미국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이미지.[NASA 홈페이지]
달의 풍부한 자원과 함께 지구와의 근접성은 우리가 화성에 진출하는 것을 포함해 심우주(지구와 달 사이 거리와 같거나 그것보다 먼 거리에 있는 우주 공간) 탐사에 필요한 기술의 훌륭한 시험대가 된다. 화성이나 더 먼 우주로 진출하려면 가까운 달부터 정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달은 중력 장벽이 낮기 때문에 태양계 전체에 걸쳐 인간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루나 벌칸 이미징 및 분광학 탐색기 연구팀의 수석연구원 케리 도널드슨 해너는 ‘포브스’를 통해 “달은 행성과 태양계 역사를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는 지식의 보물창고”라면서 “달의 중력은 심우주 방사선에 의해 DNA가 어떻게 손상될 수 있는지 계산하는 등 탐사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주간동아 1346호에 실렸습니다〉
이종림 과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