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 News1
4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가 지난 1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는 찬성률 71.8%로 가결됐다. 이날 찬반투표에는 재적인원 4만6568명 중 4만958(88%)가 참여했다.
이날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사 간 이견이 크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릴 경우 노조는 언제든 합법적 파업에 나설 수 있는 ‘파업권’을 확보하게 된다. 중앙노동위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노조는 5일 1차 쟁의대책회의를 열고 파업 날짜와 형태 등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사측은 신공장 건설에 대해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는 등 구체적인 일괄제시안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등 수용 범위를 넘어선 요구 사안이 많다는 게 사측의 분위기다.
현대차 노조는 1일 오전 6시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71.8%의 찬성으로 가결됐다.뉴스1
현대차 노조는 온건, 실리 주의로 평가받은 이상수 전 위원장 재임 기간 동안 파업은 자제하면서도 파업 쟁의권 확보를 무기로 삼아 사측에 노조 의사를 피력해왔다. 현대차가 전임 노조 집행부 시절인 2019~2021년 3년 연속 ‘무분규 타결’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올해 현대차 노조 분위기는 확연히 다르다. 전면 파업이 아니라도 부분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현대차 노조는 강성 집행부가 들어선 2012~2018년 7년 연속 파업을 겪은 바 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현대차 노사간 이견이 상당히 큰 상황으로, 올해 노조 파업 가능성은 여느때보다도 높다”며 “노조 측의 올해 요구안 일부가 수용 범위를 넘어선 측면이 있어 사측 역시 쉽사리 합의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는 “노동자 프렌들리 정책을 벌이던 문재인 정부와 달리 윤석열 정부는 노사 균형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고, 자동차 산업 역시 전기차로의 전환 등 산업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노조는 최근의 환경이 많이 변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