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교원 수급 빠진 반도체 인력 양성안… 학생은 누가 가르치나

입력 | 2022-07-20 00:00:00


정부가 10년간 반도체 인재 15만 명을 양성하는 내용의 ‘반도체 인재 양성방안’을 어제 발표했다. 이 기간 국내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12만7000명을 넘어서는 인력을 대학 정원 확대 등을 통해 키워내겠다는 것이다. 연간 인재 1만 명 확보를 목표로 대학 반도체학과 신입생을 한 해 두 번씩 뽑고 있는 대만 등과 본격적인 반도체 인재육성 경쟁이 시작됐다.

교육부는 대학·대학원·실업계고 반도체 학과 정원을 늘려 2031년까지 총 4만5000명의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수도권 대학 정원 확대의 걸림돌로 지적돼온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은 당장 추진하지 않고 남는 정원을 활용해 수도권 4년제 대학의 관련 정원을 연 1300명 정도 늘린다. 다른 분야 전공자, 기업 재직자도 재교육해 10만5000명을 별도로 육성한다. 시간이 걸리는 학위과정, 6개월∼1년짜리 단기 과정의 2개 트랙을 병행해 시급한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반도체 인재 육성의 밑그림은 나왔지만 남은 장애물이 한둘이 아니다. 교육부는 “교원만 충분히 확보하면 반도체 학과 신·증설을 허용하겠다”고 하는데 대학들이 토로하는 가장 큰 어려움이 바로 교수 인력 부족이다. 해당 분야 전공 교수가 적고, 연봉도 높기 때문이다. 서울대도 공대 교수 330명 중 반도체 연구에 전념하는 교수가 10여 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교수가 적은 데다 실험·실습 장비도 낡고 부실해 전공자들이 반도체 하나 제대로 만들어보지 못하고 졸업한다는 말이 나온다.

이런 문제를 조속히 풀려면 학계뿐 아니라 기업의 최고 전문가들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들에게 회사 업무와 교직을 병행할 길을 열어주고, 기업의 최첨단 설비를 이용한 현장실습 기회도 늘려야 한다. 박사 학위가 없다는 이유로 기업 현장에서 첨단지식을 축적한 전문가들이 학생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해서는 안 된다. ‘반도체 방패’로 불릴 정도로 경제의 미래, 국가안보에 직결된 산업을 지키는 일인 만큼 정부는 대학의 교수 확보, 장비 투자에 재정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