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 초강대국’을 위해 향후 5년간 기업 투자 340조원 달성과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인프라 지원과 규제 특례로 뒷받침하고, 차세대 시스템반도체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집중 지원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동진쎄미켐 발안공장에서 이런 내용을 담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투자 지원 ▲인력 양성 ▲시스템반도체 선도기술 확보 ▲견고한 소부장 생태계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다.
정부는 우선 인프라 지원, 규제 특례로 기업 투자를 총력 지원해 5년간 340조원 이상의 투자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대규모 신·증설이 진행 중인 평택·용인 반도체단지의 전력·용수 등 필수 인프라 구축 비용에 대한 국비 지원을 검토한다.
아울러 반도체 산단 조성시, 중대·명백한 사유가 없으면 인허가의 신속 처리를 의무화하도록 국가첨단전략산업특별법을 개정한다. 산업단지 유치에 따른 이익을 인접 지자체들이 공유하기 위해 광역자치단체장의 특별조정교부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한다.
특히 반도체 설비와 R&D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를 검토한다. 대기업의 설비투자에 대해서는 중견기업과 단일화해 기존의 6%~10%에 2%포인트(p)를 상향해 8%~12%를 적용한다.
테스트 장비, 지적재산(IP) 설계·검증기술 등도 국가전략기술에 새로이 포함하는 등 세제 지원 대상 확대도 검토한다. 현재 일본 수출규제 품목 R&D에 허용되던 특별연장근로제도 올해 9월부터는 전체 반도체 R&D로 확대한다.
화관법상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에 대한 규제도 연말까지 반도체 특성에 맞도록 대폭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민관이 합심해 10년간 반도체 인력 15만명 플러스 알파(+α)를 양성하기로 했다.
산업계도 산학협력 4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인력 양성에 협조하기로 했다. 우선 업계 주도로 연내 ‘반도체 아카데미’를 세워 내년부터 대학생·취업준비생·경력직원 등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한다. 이를 통해 5년간 3600명 이상의 현장 인력을 키운다.
민관 공동으로는 10년간 3500억원의 R&D 자금을 마련해 반도체 특성화 대학원과 연계한 R&D를 지원한다. 반도체 기업이 기증한 유휴·중고장비를 활용해 양산 현장 수준의 교육과 연구 환경도 마련한다. 중소·중견 소부장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10개 소부장 계약학과 등도 설립한다.
반도체 기업의 인력 양성 투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의 장비 기증 시, 장비 시가의 10%를 세액 감면한다. 해외 반도체 우수 인력을 유치하면 소득세 50% 감면 혜택기간을 현행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3% 수준인 시스템반도체(비메모리) 시장 점유율을 2030년에는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3대 차세대 반도체 중 전력반도체, 차량용 반도체에 대해 각각 4500억원, 5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반도체에는 2029년까지 1조2500억원을 지원한다.
파운드리(위탁생산) 반도체 생태계를 위해 IP 설계, 디자인하우스, 후공정 등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첨단 패키징 분야에 대한 대규모 예타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견고한 소재·부품·장비 생태계를 위해 현재 30% 수준인 소부장 자립화율을 2030년까지 5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소부장 R&D를 ‘추격형 국산화’에서 ‘시장 선도형’으로 대폭 전환한다. 현재 전체 소부장 R&D에서 시장선도형 기술개발 비중은 9%에 불과한데, 내년부터 20%로 대폭 확대한다. 미래 공급망 변화의 선제 대응에 중요한 분야 중심으로 ‘소부장 핵심 전략기술’도 확대한다.
제2판교와 제3판교 테크노벨리, 용인 플랫폼시티에 반도체 소부장 클러스터 구축도 추진한다. 민간 합동으로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해 내년부터 소부장 기업 혁신 등에도 투자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번 정책 발표가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완결은 결코 아니다”라며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관련 대책을 지속 보완해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전략을 실천해 나가겠다”며 “배터리, 디스플레이, 미래 모빌리티, 로봇, 바이오 등 반도체 미래 수요를 견인할 유망 신산업은 ‘반도체 플러스 산업’으로 묶고, 동반 성장을 위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순차적으로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