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A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스틸컷ⓒ 뉴스1
ENA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자문을 맡은 김병건 나사렛대학교 유아특수학과 교수가 “사실은 자문을 맡기가 꺼려졌다. 잘못 묘사되면 사회적 반향이 크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대본을 보고 자폐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2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해 “캐릭터를 드라마에 맞게 표현할 것인가 아니면 다큐멘터리적으로 표현할 것인가”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에 자폐를 표현했던 캐릭터는 자폐를 정형화시키지 않았나 생각했다. 꼭 도움만 받아야 되고 불편한 것만 있고 이런 점만 부각됐다”며 “하지만 스펙트럼이라는 진단명에서 알 수 있듯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래서 자폐의 다른 측면을 보여줄 수 있는 작업을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예전에는 자폐에 대해 범주적인 접근을 했지만 그렇게 진단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봐 스펙트럼 차원으로 옮겨졌다”며 “그렇기 때문에 자폐라고 해도 같은 모습이 아니고 굉장히 다른 모습일 수 있다”고 했다.
ENA채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뉴스1
그는 “특수교육 측면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자폐인들의 사회적 통합을 돕는 것”이라며 “아무리 중재를 잘한다고 하더라도 혹은 우영우처럼 아무리 재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최고의 지원을 하더라도 효과는 반감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극중에서도 우영우는 서울대 로스쿨을 수석졸업했음에도 아무런 로펌에도 들어가지 못했다”며 “몇 년 전에 장애부모님들께서 특수학교 건립을 위해 무릎까지 꿇었다. 지금도 많은 분이 삭발을 하시면서 거리로 나가고 계신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ggga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