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악화] “경제 나쁜데 금리 올려 위기 초래” 월가 전문가 63%도 연준에 부정적 “고용 타격 감수해야” 두둔 의견도
27일(현지 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하루 뒤로 예정된 미 2분기(4∼6월) 성장률 발표에 연준 통화정책의 적절성을 둘러싼 논란이 고조되고 있다.
월가는 연준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 달에도 ‘자이언트스텝(giant step)’, 즉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봐 왔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1%로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28일 오전 8시 기준 시장의 기준금리 전망을 반영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에서 0.75%포인트 인상 확률이 73.9%, 1.00%포인트 인상 전망이 26.1%로 나타났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반대하는 쪽은 현재 미 경제 상황이 좋지 않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 외부 변수로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가 작아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이 우려된다는 점을 이유로 든다. 26일 발표된 미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5.7로 3개월 연속 하락세였다.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다. 미 소비자신뢰지수를 조사하는 콘퍼런스보드의 린 프랑코 이사는 “인플레이션과 추가 금리 인상이 하반기 소비 지출과 경제성장에 강력한 역풍을 몰고 올 것”이라고 말했다.
집권 민주당의 진보파인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연준이 수백만 취약계층과 유색인종을 침체로 내몰고 있다”며 연준을 압박했고,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피터 다이아몬드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이미 불확실성이 커진 경제에 연준이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지난해 초부터 인플레이션 위험을 경고했던 로런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나는 반대했고 워런 의원은 찬성한 경기 부양책 때문에 물가가 올라 노동 계층의 구매력이 약화됐다”며 물가 억제가 우선순위라고 반박했다. 올리비에 블랑샤르 MIT 명예교수도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면 고용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며 “각국 중앙은행의 고충이 크다”고 두둔했다.
월가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26일 CNBC의 설문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을 2%대로 맞추려는 연준의 노력이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3%가 “그렇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