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필리핀 ‘친중 정부’ 집권 속 버지니아급 원잠 도입 노려야
미국의 버지니아급 공격 원자력잠수함. 미 해군 제공
미 본토 위협하는 中 SLBM
지난해까지만 해도 쿼드, 오커스를 통해 미국이 중국을 제압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잖았다. 그러나 올해 들어 미국 중심의 대중(對中) 견제 전선에 이상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호주와 필리핀에서 중국 측에 우호적인 성향의 정권이 들어선 것이 주된 배경이다.
미국은 핵 비(非)확산 원칙을 스스로 깨고 쿼드, 오커스 회원국 호주에 원자력 추진 잠수함이라는 선물을 제안했다. 양국 정부 간 최신형 공격 원자력잠수함(원잠) 버지니아급을 직접 판매하고 기술이전까지 하는 협상이 상당히 진척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오커스 레짐을 통해 △공격원잠 제공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 B-21 판매 △호주군 EA-18G 전자전 공격기에 탑재할 차세대 전자전 재머(Jammer) 공급을 논의할 정도로 호주와 각별한 관계를 유지했다. 미국이 이처럼 파격적 행보를 보인 이유는 호주라는 파트너가 갖는 전략적 가치 때문이다.
현재 개발이 거의 완료된 쥐랑-3의 최대사거리는 1만2000㎞로 보하이만에서 미국 동부지역을 공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제원상 핵탄두 1발을 탑재했을 때 최대사거리다. 쥐랑-3가 위력을 발휘하려면 핵탄두 10발을 실어야 한다. 이 경우 사거리는 9000㎞ 이내로 줄어든다. 중국 연안에서 쏘면 미국 서부 해안에 겨우 닿을 정도라는 뜻이다. 중국은 2010년대 이후 유사시 주한·주일미군의 공격에 취약한 랴오닝·산둥 일대 전략원잠 기지를 남중국해 하이난다오 위린으로 옮겼다. 중국이 사실상 자국 내해처럼 여기는 곳이다. 기지를 옮기면서 전략원잠의 생존성은 향상됐지만 한 가지 문제가 생겼다. 유사시 대만과 필리핀 사이 바시해협 일대에 구축된 미국의 대잠 저지선을 뚫지 않으면 미 본토 타격이 어렵게 된 것이다.
물론 이런 문제는 옛 소련의 델타급, 타이푼급 전략원잠처럼 미사일과 잠수함의 덩치를 키워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잠수함의 기동성과 정숙성이 크게 약화되기에 근본적 해결책은 아니다. 중국이 최근 몇 년 동안 대만을 당장 침공할 것처럼 으르렁거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중국이 대만을 점령하면 곧장 태평양으로 나가는 길이 뚫린다. 미국도 이 점을 잘 알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 미국 정부는 대만의 대잠 전력과 잠수함 전력 현대화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대만의 3000t급 AIP(공기불요추진체계) 잠수함은 2018년 사업 착수 4년 만인 올해 9월 초도함 진수를 눈앞에 두고 있을 만큼 ‘진도’가 빠르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의 방산업체들과 대만을 연결하는 식으로 기술을 제공한 덕분이다.
호주, 버지니아급 잠수함 10척 도입 좌초되나
2021년 한국, 미국, 일본, 호주 해군 함정들이 호주 인근 해상에서 연합훈련을 하고 있다. 미 해군 제공
하지만 미국의 안보 구상은 5월 호주와 필리핀의 정권교체로 위기에 봉착했다. 5월 21일(현지 시간) 호주 총선에서 노동당이 하원 의석 151석 중 77석을 차지해 자유당을 누르고 집권 여당이 됐다. 호주 노동당은 여러 차례 친중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노동당 소속인 케빈 러드 전 총리, 그에 앞서 총리를 지낸 줄리아 길라드 등이 친중 발언으로 구설에 올랐다. 이들은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부정적으로 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3월엔 노동당 총선 후보로 나선 일부 정치인이 중국 기업가 및 정보요원으로부터 불법 정치 자금을 받은 혐의로 호주안보정보기구(ASIO)와 경찰의 조사를 받는 ‘친중 정치인 스캔들’이 터졌다. 그럼에도 주요 경합 지역에서 몰표를 던진 중국계 이주민들 덕분에 노동당은 정권 탈환에 성공했다. 호주의 중국계 이민자는 120만 명으로 전체 인구 2500만 명에서 무시할 수 없는 비율을 차지한다. 현지 언론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서 중국계 호주인의 75%가 노동당 후보를 지지했다고 한다.
中 지원 속 귀환한 필리핀 마르코스 일가
중국이 남중국해 스프래틀리군도(중국명 난사군도)에 조성한 인공섬 내 군사시설. 뉴시스
‘게임 체인저’ 고성능 공격원잠 도입해야
지난해 4월 필리핀해에서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머스틴’의 함장(왼쪽)이 함교 난간에 다리를 올린 채 중국 해군 항공모함 랴오닝함을 바라보고 있다. 남중국해에서 양국 해군이 벌이는 신경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미 해군 제공
중국이 미국과 대등한 수준의 보복 타격 능력을 갖게 된다는 것은 미국 주도의 세계 질서가 무너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특히 중국은 최근 러시아의 ‘포세이돈’ 핵추진 수중 드론을 모방한 무기체계 개발에도 나섰다. 호주와 필리핀 악재를 수습하고 망가진 대중 포위망을 보강하는 것이 미국에 더 긴요한 문제가 됐다. 공격원잠 획득을 꾸준히 추진해온 한국엔 그야말로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다.
한국은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대잠(對潛) 전진기지로서 입지가 탁월하다. 원자력발전과 조선산업 분야에서 세계 최정상급 기술력을 가진 것도 강점이다. 한국형 원잠의 등장을 가로막던 정치적 걸림돌이 미국의 필요에 의해 사실상 사라졌다. 따라서 한국이 국제정치판 자체를 뒤흔들 ‘게임 체인저’가 될 교두보인 원잠 확보를 망설일 이유가 없다. 미국이 호주에 팔려던 고성능 공격원잠을 한국이 들여와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공격원잠을 다수 건조해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럴 경우 북한에 대한 강력한 억지력은 물론, 중국에 할 말은 하는 전략적 위상도 갖추게 된다. 대한민국의 원잠 확보, 바로 지금이 적기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