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주한칠레대사 신임장 제정식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2022.7.29/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인 28%까지 떨어졌다. 지지율 회복 동력을 찾는 것이 급선무다. 하지만 선거 등 지지율 반등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치적 이벤트가 없어 윤 대통령의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임 대통령들도 취임 초기 지지율 하락으로 위기를 맞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취임 1년 차 3분기에 20%대 지지율을,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1년 차 2분기에 20%대 지지율을 찍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인사 문제 등으로 인해 취임 첫 주 40% 초반 지지율을 기록했다.
전임 대통령들은 지지율 하락에 청와대 등 인사 개편, 국정 운영 스타일 전환 등으로 돌파구를 마련했다. 하지만 인사 문제, 부인 김건희 여사 리스크, 소통 문제 등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원인이 다층적·복합적이라 반등책을 마련하기도, 단기간에 지지율을 회복하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한 것은 ‘고소영·강부자 내각’으로 압축되는 인사 문제, ‘광우병 사태’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 전 대통령은 지지율이 급락하자 같은 해 6월 19일 특별 기자회견을 통해 “시급한 국가적 현안이라 해도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무엇을 바라는지 챙겼어야 했는데 저와 정부는 이 점에 대해 뼈저린 반성을 하고 있다”고 사과했다.
이 전 대통령은 ‘광우병 사태’에 대해 “식탁 안전에 대한 국민 요구를 헤아리지 못했고 자녀의 건강을 걱정하는 어머니의 마음을 살피지 못했다”고 말했다.
인사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 눈높이에 모자람이 없도록 인선에 최선을 다하겠다. 청와대 비서진을 대폭 개편하고, 내각도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집권 초반부터 인사 문제 때문에 곤란을 겪었다.
박 전 대통령 51.6%의 득표율로 18대 대선에서 승리했지만, 집권 첫 해인 2013년 1분기 지지율은 42%였다. 박 전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인사 논란이었다. 초대 총리로 지명됐던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이 아들의 병역문제,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5일 만에 자진사퇴했고,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는 무기중개업체 고문 재직 이력, 위장 전입 등으로 여당 내에서도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박 전 대통령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고위 당정청 회의와 실무 당정청 회의 정례화, 고위 공직자에 대한 검증 강화, 경제 살리기 행보 등 국정 운영 방식을 전환했다. 박 전 대통령의 지지율은 빠르게 상승해 2013년 3분기에는 60%까지 올라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지지율 20%대를 기록한 것과 관련, “하려고 했던 것들을 묵묵히 해내다 보면 결국 국민들도 진정성을 다시 생각해 줄 때가 올 것”이라며 “무엇을 해야하는지 찾아서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