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수출입 동향… 韓 무역구조 격변
지난달 대중 무역수지가 5억7000만 달러 적자로 30년 만에 3개월 연속 적자를 냈다. 반면 이 기간 대미 수출액은 약 100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33억1000만 달러 흑자를 거뒀다. 팬데믹 후폭풍, 미중 갈등과 맞물려 대중 수출 비중이 줄고 대미 수출 비중은 느는 등 한국의 무역구조가 바뀌고 있는 형국이다. 당장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이어지면서 수출 전선에 비상이 걸렸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중 수출액은 132억4300만 달러로 지난해 7월에 비해 2.5% 줄었다. 대중 수출액은 올 1분기(1∼3월)까지는 전년 대비 10%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지만 4월(―3.4%) 이후 5월(1.4%), 6월(―0.8%)을 거치며 주춤거리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 무역수지는 5월(―10억9000만 달러), 6월(―12억1000만 달러), 7월(―5억7000만 달러) 3개월 연속 적자를 냈다. 대중 무역수지가 3개월 연속 적자를 낸 것은 1992년 이후 30년 만이다.
국제 에너지 값이 크게 오른 데다 대중 수출이 줄면서 7월 무역수지는 46억6900만 달러 적자로 4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냈다. 4개월 연속 적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이다. 올 초부터 누적치로는 150억2500만 달러 적자인데,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56년 이후 66년 만의 최대다.
대중 수출 감소의 원인으로 단기적으로는 중국 정부의 코로나 도시 봉쇄에 따른 경기 침체가 지목된다. 이와 함께 한중 기술격차 감소로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진 데다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이 공급처를 다변화한 영향이 적지 않다. 산업계가 대중 무역적자가 고착화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이유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대중 수출의 약 80%를 차지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등 중간재의 중국 시장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김아린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간재 자급화 등 중국의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대중 수출 확대가 한계에 봉착했다”고 분석했다. 중간재뿐만 아니라 소비재 분야도 중국 시장을 제대로 공략할 제품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산 제품 수입은 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생산하지 않는 저가형 반도체를 비롯해 리튬 등 이차전지 원자재 수입이 크게 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이건혁 기자 gu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