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펠로시, 싱가포르·말레이 거쳐 오늘 밤 대만 도착할 듯

입력 | 2022-08-02 11:01:00

ⓒ News1


중국의 거듭된 경고에도 ‘미국 권력 서열 3위’인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강행할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CNN과 파이낸셜타임스(FT),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P통신 등 외신은 일제히 펠로시 의장이 이르면 2일 대만 수도인 타이베이에 도착해 3일 대부분의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대만과 미국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대만 관계자를 인용, 펠로시 의장의 도착이 임박했다는 통보를 전달받았다면서 “그는 틀림없이 올 것이다. 유일한 변수는 그가 타이베이에서 (2일) 밤을 보내느냐 정도”라고 말했다.

FT는 소식통 3명을 인용해 펠로시 의장이 아시아 순방의 일환으로 대만 타이베이를 방문, 차이잉원 총통을 만날 것이라고 전했다.

CNN은 대만과 미국 고위 관리를 인용해 펠로시 의장이 대만에서 하룻밤을 머물고 공식활동을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그가 정확히 며칠날 대만에 도착할 예정인지는 불분명하다고 했다.

아울러 대만을 방문하는 펠로시 의장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국방부가 중국의 움직임을 밤새 추적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 외교·안보 칼럼니스트인 조시 로긴도 트위터를 통해 낸시 펠로시 의장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항공기 기종이 SPAR19가 맞다면 펠로시 의장은 말레이시아 일정 이후인 2일 오후나 3일 오전에 대만에 방문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대만 3대 국영 신문인 유나이티드데일리뉴스, 리버티타임즈, 차이나타임스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펠로시 의장이 말레이시아를 방문한 뒤 타이베이에 도착해 하룻밤을 보낼 것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아시아 순방 일정을 시작한 펠로시 의장은 전날(1일) 싱가포르에서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을 진행했다. 양측은 당시 지역 평화와 안보를 위해 안정적인 미·중 관계가 중요하다는 얘기를 나눴지만, 대만 방문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당초 펠로시 의장은 지난 4월 대만을 방문할 계획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일정을 연기했다. 미국 내 권력 서열 3위인 현직 하원의장이 대만을 찾을 경우 1997년 공화당 소속 뉴트 깅그리치 전 하원의장 이후 25년 만의 방문이 된다.

그러나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둘러싸고 미·중 군사적 충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 WSJ는 “중국에 있어 펠로시의 대만 방문은 미국의 약속을 위반한 것으로 비춰진다. (펠로시의 대만 방문은) 미국이 대만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지원을 강화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면서 “중국 외교 전문가들은 펠로시의 방문을 중국 당국이 눈감아줄 경우 선례를 남길 수 있다고 우려 중”이라고 전했다.

FT도 중국이 펠로시의 항공기를 격추시킬 것이라고 생각하는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거의 없으나 중국군이 가로막으려할 수는 있다면서 이는 미군의 개입을 촉발시키기 때문에 자칫하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마크 밀리 합참의장은 지난주 FT에 “펠로시 의장이나 다른 누군가가 군사적 지원을 요청할 경우 우리는 그들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난처한 입장에 놓이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 외교부는 그간 펠로시 의장의 방문을 강력한 언어로 반대해왔고, 미국 내에서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WSJ는 “펠로시 대표단의 대만 방문 가능성은 바이든 행정부를 난처하게 했다”면서 “만일 펠로시 의장이 방문을 강행할 경우 가뜩이나 첨예한 중국과 미국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이고, 대만 방문을 철회할 경우 공화당은 민주당을 비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은 대만 관련 정책 기조를 ‘전략적 모호성(ambiguity)’에서 ‘전략적 명료성(clarity)’으로 점차 옮긴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략적 모호성’이란 중국의 대만 침공에 대해 미국이 대응법을 모호하게 제시함으로써 양안 관계가 지나치게 긴장되는 것을 막으려는 정책 기조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