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금산 보리암 일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들이 꿈결처럼 포근한 바다에 떠 있다.
● 남해 보리암의 일출
보리암은 남해의 명산인 금산 정상 절벽에 아슬아슬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 서면 남해 상주은모래비치를 중심으로 호도, 애도, 해운산, 목도, 승치도, 삼여도, 소치도 등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섬들이 꿈결처럼 떠다닌다. 해수관음상의 미소처럼 포근하고 따스한 풍경이다. 보리암 일출을 보기 위해 이른 새벽 금산에 올랐다. 낮에는 금산 입구부터 운행하는 사찰 버스(오전 8시∼오후 4시 운행)를 타고 올라가야 하지만, 새벽에는 정상 부근인 제2주차장까지 승용차로 올라갈 수 있다. 차에서 내린 후 금산의 맑은 아침 공기를 느끼며 15분 정도 걸으니 보리암 뒤편의 대장봉과 화엄봉, 형리암의 깎아지른 바위가 나타난다.
남해 보리암 해수관음상.
티베트의 영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도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달라이 라마의 집무실이 있는 라싸의 ‘포탈라궁’도 포탈라카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달라이’는 ‘큰 바다’란 뜻이다. 포탈라카는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보타락가(普陀落迦)’라는 한자로 음차됐다. 중국 저장성 닝보(寧波) 인근 푸퉈(普陀)산은 대표적인 관음성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상 대사가 신라 문무왕 11년(671년) 관세음보살을 친견하고 관음굴을 지었다는 양양 낙산사 홍련암을 최초의 본격 관음도량으로 본다. 국내 3대 관음성지인 양양 낙산사의 ‘낙산’, 강화 보문사의 ‘낙가산’, 남해 보리암의 ‘보타전’ 등은 모두 ‘보타락가’라는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
보리암이 있는 금산의 풍경은 계절에 따라 비단으로 수놓은 듯 변화무쌍하게 변한다. 금산을 오르다 보면 쌍홍문, 망대, 단군성전, 좌선대, 화엄봉과 같은 전설과 이야기가 담긴 명소들이 즐비하다. 고려 말 이성계가 보리암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열었다는 기도처도 남아 있다. 특히 슬픈 사랑의 전설이 담겨 있는 상사암(想思巖) 절벽은 보리암을 색다른 각도로 조망하고, 파노라마처럼 바다 풍경을 바라보며 사색에 잠길 수 있는 곳이다.
● 동아시아 해상 실크로드의 관음성지
강화 석모도 낙가산 중턱에 있는 눈썹바위 해수관음상.
신라시대에 세워진 강화 보문사는 고려시대 때 관음성지로 크게 번창했다. 보문사의 번창은 해상 무역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인도를 출발해 믈라카 해협과 베트남, 중국 광저우까지 진출한 인도 상인들이 중국 연안의 닝보를 거쳐 고려의 수도 개경의 관문인 벽란도까지 진출했다. 강화도는 벽란도의 관문 역할을 하던 곳이다. 옛날에 배는 물건을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무역에 적합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육로에 비해 난파 등의 위험이 높아 항해는 늘 목숨을 건 모험이었다. 사람들은 항해의 두려움과 무서움을 이겨 내기 위해 많은 신들에게 빌었다. 그중에 으뜸은 관세음보살이었다. 그래서 동아시아 해상 실크로드를 오가던 뱃사람들은 중국 닝보, 강화도 등 바닷가의 산에 관세음보살이 살던 인도의 보타락가산을 재현해 냈다.
해명산에서 낙가산까지 바다를 바라보며 걷는 능선길은 순하다. 낙가산 정상 표지석을 지나 새가리고개를 넘자 보문사의 전각들이 내려다보인다. 너럭바위 바로 아래가 해수관음상을 모신 눈썹바위지만, 낙가산 정상에서 바로 내려갈 수는 없다. 다시 보문사까지 내려와서 일주문을 지나 계단을 오른다. 숨이 턱까지 차오를 무렵 눈썹바위 마애관음보살상에 다다랐다. 연꽃 위에 좌정하여 감로수 병을 든 보문사 해수관음상 앞에는 소원을 담은 수많은 연등이 걸려 있다.
한옥으로 지은 강화 성공회성당.
조양방직 공장을 리모델링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