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쓰레기 크레인조정실에서 폐기물이 소각로로 옮겨지고 있다. 2021.3.15/뉴스1 ⓒ News1
자원회수시설은 서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필수 환경 인프라다. 재활용되지 않는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시설로, 매립되는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를 크게 줄인다.
현재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서 하루 약 2222톤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지만 현재 용량이 부족해 나머지 1000톤은 수도권 매립지에서 소화하고 있다.
신규 자원회수시설은 현재 직매립되는 폐기물을 소화할 일일 소각량 1000톤 규모로 조성한다. 이렇게 되면 2026년엔 ‘직매립 제로(0)’가 실현된다.
시는 이를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하기 위해 디자인·친환경 등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이자 지역 명소로 만들 계획이다.
실제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는 소각시설 상부에 스키장을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해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로 선정됐다. 대만의 ‘베이터우’ 소각시설은 굴뚝 상부에 전망대와 회전식 레스토랑을 운영, 360도 통유리를 통해 주변을 감상할 수 있다.
도심지 신규 광역 자원회수시설 건립 예시. (서울시 제공) @News1
무엇보다 세계 최고의 오염방지설비를 갖춰 대기오염물질·악취·소음을 최소화한다.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한다.
신규 시설의 다이옥신 배출 기준은 현행 0.1보다 크게 낮은 0.01까지 줄일 방침이다. 우리나라 현행 기준은 물론 유럽(0.1)과 일본(0.3)보다도 엄격한 수준이다.
시는 또한 차량 세척시설을 설치하고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개설한다.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건립 전에는 ‘환경영향평가’, 운영 과정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 ‘주민건강영향조사’ 등을 실시한다.
시는 지난 20년 동안 매년 실시하고 있는 기존 4개 시설 인근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결과에서도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는 만큼 인체에 무해한 시설이며,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전력생산과 난방에도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개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1㎍/㎥으로 서울시 전체평균(38㎍/㎥)보다 오히려 더 낮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와 서울시민 전체를 위한 필수 시설이므로 최적 후보지 결정 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조성, 깨끗하고 안전한 시설,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지원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향후 시설 건립 순항 여부는 시가 ‘기피시설’이란 고정관념을 어떻게 해소하느냐에 달렸다.
이날 대규모 재원을 동원하는 여러 당근책이 나왔지만 각 자치구는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자치구마다 폐기물 처리가 최대 현안인 만큼 신규 시설 건립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 강동구는 후보지로 거론된다는 소문만으로 ‘광역자원회수시설 대응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는 등 민감하게 움직였다.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두 차례 공모했지만 희망하는 자치구가 없어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선정할 것”이라며 “현재 플랜B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 2027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존 4개 시설에 대한 현대화와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어떤 혜택을 줄지도 용역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입지선정위원회(위원장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주민대표 3명, 전문가 4명, 시의원 2명, 공무원 1명 등 총 10명이다.
후보지는 자치구별 최소 1개소를 포함한 36개 중 현재 5개 내외로 압축한 상황이다. 시는 최종 후보지 선정 후 ‘주민소통협의체’를 구성해 수시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소통 채널을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