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2분기 소득 ‘역대 최대’ 12.7% 늘었는데…실질소비 0.4%만 올라

입력 | 2022-08-18 13:39:00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1년 전보다 12% 넘게 늘어나면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고 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화로 서비스업 업황 개선세가 이어진 영향이다. 여기에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따른 소상공인 손실보전금이 지급되기 시작하면서 소득 증가에 힘을 보탰다.

지출도 6%가량 늘어나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소득이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 물가 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증가 폭 자체는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근로·사업소득 5분기 연속 증가…공적이전소득 61.5%↑

18일 통계청의 ‘2022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3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 12.7% 늘었다.

이는 1인 가구 이상을 포함하는 가계동향조사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래 역대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지난 1분기(10.1%)에 이어 2분기 연속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이기도 하다.

다만 물가 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6.9%로 이보다 낮았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전체 소득에서 가장 큰 비중(59.8%)을 차지하는 근로소득이 288만7000원으로 5.3% 늘었다. 이는 2분기 기준으로는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이다. 분기 전체로 보면 지난 1분기(306만2000원)가 최고치였다.

사업소득은 14.9% 증가한 92만7000원으로 2010년 1분기(13.1%) 이후 역대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모두 지난해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는 2013년 2분기 이후 처음이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지난 2분기 취업자 수 증가로 고용 상황이 개선됐고,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중심으로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근로·사업소득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전소득은 89만3000원으로 44.9% 늘었다. 특히, 공적이전소득이 67만9000원으로 61.5% 대폭 증가했다.

이는 2차 추경에 편성된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 국민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2020년 2분기에는 이전소득 증가 폭이 66.9%에 달하기도 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손실보상을 위해 피해 규모와 상관없이 모든 소상공인·자영업자와 매출액 30억원 이하 중기업까지 370만 명에게 최소 600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친·인척 간 용돈 등 사적이전소득은 21만4000원으로 9.2% 증가했다.

반면 이자·배당과 관련된 재산소득은 3만3000원으로 22.9% 감소했다.

근로·사업·이전·재산소득을 모두 아우르는 경상소득은 473만9000원으로 12.6% 늘었다. 경조 소득과 보험으로 받은 금액 등이 포함된 비경상소득은 9만2000원으로 16.1% 증가했다.

이 과장은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하면서 총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거리두기 해제에 소비 늘었지만…실질소비지출 0.4% 증가 그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소비도 꾸준한 증가 추세다.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50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여기서 소비지출은 261만9000원으로 5.8% 늘었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는 2010년 2분기(6.7%)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비목별로 보면 12대 지출 구성 가운데 가정용품·가사서비스(-9.4%), 주거·수도·광열(-3.3%), 주류·담배(-3.0%), 식료품·비주류음료(-1.8%) 등이 감소세를 보였다.

반대로 오락·문화(19.8%), 음식·숙박(17.0%), 의류·신발(12.5%), 교통(11.8%), 교육(11.1%) 등 코로나19 확산 이후 침체됐던 품목에서 10%대 증가율을 기록한 점은 긍정적이다.

이외에 기타상품·서비스(4.4%), 통신(3.6%), 보건(2.5%) 등에서도 지출이 늘었다.

하지만 소득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그만큼 씀씀이가 커지지는 않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실질소비지출이 0.4% 증가에 그쳤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는 지난해 2분기(1.3%) 이후 같은 분기 기준으로 가장 적은 수준이다. 실제 소비지출과 실질소비지출 간의 격차가 이렇게 벌어지는 것도 2008년 3분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실질소득(6.9%)에 비해 실질소비지출 증가율이 지나치게 낮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 과장은 “이번에 일시적으로 손실보전금이 21조원가량 지급되면서 소득이 소비 지출 증가율보다 높았고, 그러다 보니 소득과 소비 간 격차가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세금, 사회보험료, 경조사비, 헌금 등을 포함하는 비소비지출은 88만8000원으로 6.6%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인 경상조세는 6.0% 늘었다. 아울러 비영리단체로 이전 지출(11.5%), 사회보험료(10.1%), 가구 간 이전지출(7.9%), 이자비용(7.1%), 연금기여금(6.8%) 등도 증가했다.

반면 상속·증여세와 양도소득세 등 비경상조세(-43.3%)는 큰 폭 줄었다.

◆처분가능소득 14% 늘고, 평균소비성향은 ‘역대 최저’

한 가구에서 소비와 저축 등에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은 크게 늘었지만, 지출이 늘어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도 나온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94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14.2%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소비 지출과 저축 등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뜻한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132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35.2% 증가했고, 흑자율도 36.6%로 5.2%포인트(p) 상승했다.

소비지출도 함께 늘었지만 처분가능소득이 더 많이 증가하면서 평균소비성향은 66.4%로 5.2%p 하락했다. 이는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이 수치는 2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이며 지난해 4분기(67.3%·-0.7%p), 올해 1분기(65.6%·-3.3%p)에 이어 3분기 연속 하락세다.

[세종=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