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사찰음식 명장 우관 스님
이곳 원장으로 있는 우관 스님(58)은 올해 6월 정관 스님과 함께 사찰 음식의 세계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음식 명장(名匠)으로 위촉됐다. 그는 조계종 사찰음식 표준교재를 만들었고 해외문화원의 초청을 받아 사찰음식을 알렸다. 국내 최초로 사찰음식 관련 영문책도 집필했다. 음식과 영어에 관한 질문을 던졌더니, 그는 뜻밖에 화두(話頭)에 직면한 수행자의 표정이 됐다.
―원래 음식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닌가.
“고향이 전북 김제인데 출가 전 집에서는 양말 한 짝 안 빨았다. 그런데 요리는 못해도 전라도 음식에 대한 DNA, 그 미각이 살아 있더라. 은사를 모시느라 절집 음식을 배웠는데, 공양을 내면 스님들이 그릇을 싹싹 비우더라. 수원 봉녕사승가대에 재학하던 때 김장철이면 학장 묘엄 스님(1931~2011·청담 스님의 딸)이 마이크로 ‘우관이, 어서 올라오라’고 불렀다. 제가 간을 보고 ‘오케이’하면 3000포기 김장이 시작됐다.”
“노, 노, 네버…. 하루 3시간씩 자며 공부했는데 너무 공부가 잘 됐다. 그런데 자꾸 공부 중 히말라야 설산에 있는 모습이 보여 인도로 떠났다.”
―어렵다는 음식에 관한 영어도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영어에 자신 없어 시험을 포기하려고 했는데 나보다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 베트남 스님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더라. 가만 보니, 관련 내용을 통째로 외우고 있었다. 비 올 것으로 생각하고 나가지 않으면 햇빛을 맞을 수 없다. 그래서 나도 A4용지 500장 분량을 외웠고 5년을 그렇게 공부했다.”
“2009년 봉녕사에서 열린 첫 사찰음식대향연에 갑작스럽게 전시음식이 턱없이 부족한 사태가 벌어졌다. 그러자 묘엄 스님이 ‘우관이는 할 수 있다’며 난데없이 음식을 준비하라고 했다.”
―어떤 음식을 냈나?
“한국인 주식이 밥인데 점차 밥을 안 먹는다는 점에 착안해 봄 민들레 쑥 녹차, 여름 감자 보리, 가을 시래기, 겨울 팥 연근 등의 재료로 16가지 밥과 죽을 내놨다. 행사장에서는 호평이 이어졌지만 공부하는 스님들 사이에서는 ‘우관 스님이 어쩌다가 사찰음식까지 하게 됐나’ ‘그동안 공부가 아깝다’는 말이 나왔다.”
―그런 반응은 뜻밖이다.
“음식은 단순히 먹는 일이 아니라 누군가 정성스럽게 올리는 공양이 될 수 있다. 부처에게 귀의하는 마음이다. 공양을 준비하면서 스스로 풀을 뜯고 직접 만든다는 것은 자신을 낮추는 하심(下心)과 사랑, 자비심이 깔려 있다.”
―앞으로의 계획은?
“행주좌와 어묵동정(行住坐臥 語默動靜), 모든 게 수행 아닌 것이 없다. 먹는 것도 수행 아닌 것이 없다. 말은 쉽게 잊혀도 맛의 기억은 오래 남는다. 맛있게 감사하게 먹었다는 마음을 줄 수 있다면 그것이 불법을 가르쳐 주는 가장 쉬운 방법이자 가르침 아닐까 싶다.”
김갑식 문화전문기자 dunanworld@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