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모녀가 숨진 채 발견된 경기 수원시 권선구의 한 다세대주택 방을 23일 특수청소업체 직원이 정리하고 있다. 수원=전영한기자 scoopjyh@donga.com
21일 경기 수원의 다세대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세 모녀. 60대 어머니는 암 투병 중이었고 40대 두 딸도 난치병을 앓고 있었다. 극심한 생활고를 겪었지만 어디에도 누구에게도 의지할 수 없었다. 빚 때문에 이사를 하고도 전입신고를 하지 않아 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었다. 이들이 한 달 전쯤 마지막으로 주인집에 남긴 말은 “병원비 정산하느라 월세가 좀 늦어졌다. 미안하다”였다고 한다.
세 모녀의 비극이 알려진 뒤 정부와 정치권은 극한 상황에 놓인 위기의 취약계층을 추적할 시스템과 인력의 확충, 매뉴얼의 개정 등 다각적 대책 마련을 다짐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런 다짐들로 또 다른 비극을 막을 수 있을까.
수원 세 모녀의 비극은 8년 전 복지 사각지대에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극단적 선택을 한 송파 세 모녀 사건을 떠올리게 한다. 기초생활수급 대상에서도 배제됐던 송파 세 모녀가 세상과 작별하며 남긴 것은 현금 70만 원과 ‘죄송합니다.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라는 메모였다. 이 사건 이후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같은 공적 복지망 연결제도가 가동됐다. 하지만 등록주소지와 실거주지가 달랐던 수원의 세 모녀에겐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삶의 끝에 선 이들은 그런 도움이 가능한지도, 어디에 요청할지도 모르는 게 현실이다. 그제 광주에선 방학 중 기숙사에서 홀로 지내던 보육원 출신의 새내기 대학생이 숨진 채 발견됐다. 그가 남긴 쪽지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하다’고 적혀 있었다. 최근 서울 신림동에서 폭우로 인한 반지하 침수로 숨진 세 가족의 참사는 같은 자연재난도 가난한 사람에겐 너무도 가혹한, 불공평한 현실을 새삼 일깨워준다.
우리 사회에서 이웃이라는 정서적 유대의 공동체는 사라져가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개인적 접촉마저 꺼려지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하지만 세 모녀의 비극은 뉴스, 영화에서나 보는 현실이 아니다. 바로 지금 우리 가까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다. 추석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각자 주변부터 살펴보는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감을 발휘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