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보육원 출신 청년 연이은 비극…“금전보다 사회화 지원 절실”

입력 | 2022-08-26 16:16:00


최근 보육 시설을 나와 자립하던 청년들이 생활고와 외로움 등을 호소하다 극단적 선택을 하는 비극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질적 지원도 중요하지만, 자립 청년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26일 광주 광산경찰서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오전 7시17분께 광주 광산구 한 아파트 화단에서 입주민 A(19)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A씨가 당일 오전 아파트 고층으로 향한 정황으로 미뤄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숨진 A씨는 ‘최근 친구의 죽음으로 충격을 받았다.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메모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만 18세까지 지역 보육시설에서 생활했으며, 부모는 모두 장애가 있어 A씨를 보살필 형편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지난 18일엔 광주의 한 대학 건물에선 이 학교 신입생 B군이 극단 선택을 했다. 보육원 출신인 B군은 시설을 나올 때 받은 지원금 700만원 가운데 500여만원을 등록금과 기숙사비 등으로 쓴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엔 보육원 관계자에게 “돌봐주는 사람이 없어 너무 힘들다”며 외로움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비극과 관련해 자립 청년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사회화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김지선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부연구위원은 “연장 보호 중이지만 시설 밖에서 생활하거나 보호 종료 이후 자립한 청년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정부가 정확히 파악·관리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면서 “사후관리 모니터링 대상이 아닌 중간 퇴소자들이나 보호 종료 후 5년 이상 된 청년들을 고려하면 위험해 처해있는 자립 준비 청년이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우진 자립준비청년협회 대표는 경제적 지원이 아닌 사회화를 위한 지원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립 준비 청년들은 시설에 입소하는 순간 가족은 사라지고 사회와 단절되고 인생에 대한 실패감과 패배감을 맛보며 성장하게 된다”며 “시설에서 생활하면서 한정된 사람과 소통하고, 사회에 나갈 때 소통하는 방법을 모르고 성인이 된다. 본인의 선택이 아닌 나이가 찼다는 이유로 떠밀려 나오게 되면 사회화가 안 돼 있어 어려움을 마주할 때 스스로 일어나지 못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전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심리 치료를 통해 성취감, 자존감을 얻는 경험이 시급하다”며 “지역사회에서 좋은 어른들이랑 교류하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립 준비 청년이 자립할 준비가 안 돼 있다면 보육원 퇴소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만 18세까지던 보호 기간을 본인 의사에 따라 만 24세까지 연장했다. 명칭도 보호종료아동이 아닌 자립준비청년으로 바꿨다.

이용교 광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는 “원하면 더 지낼 수 있지만, 당사자들은 빨리 나가고 싶어하는 게 일반적이다. 준비가 안 된 당사자들이라고 해도 나가고 싶다고 하면 더 있으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번 사례에서처럼 부모님이 있다고 해도 보호 능력이 떨어지는 상태라면 퇴소를 늦춰야 하는 게 맞다”며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선 대학 졸업 후 자립할 수 있을 만한 직장에 취업했을 때, 자립 능력을 갖추고 실질적으로 먹고살 수 있을 때까지 퇴소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