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류학전공 교수
“나는 음악이란 인간에 의해 인간을 위해 조직화된 소리라고 기술했다. 그리고 조직된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생성된 소리의 유형과 인간 조직의 유형 사이의 관계를 탐구해야 한다. … 만일 그들에게 그러한 공감이 없다면 그들의 음악은 거의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존 블래킹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 중
제국주의 시대 서구의 인류학자들은 식민지를 조사하기 위해 전 세계로 현지 조사를 떠났다. 인류학자들이 최소 몇 년간 현지어를 배우고, 그들과 함께 먹고 자면서 조사한 내용은 제국 경영의 훌륭한 자료로 쓰일 터였다.
음악인류학자 존 블래킹의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을 수 있다. 아프리카의 여러 부족 사회의 음악을 연구한 블래킹은 당대 다수의 생각에 의문을 표했다. 타인과 악기 소리를 맞출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성인이 될 수 있는 아프리카 벤다족의 문화가, 소수를 제외하면 악기 하나 다루지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영국 런던보다 음악적으로 더 풍부하고 풍성한 사회 아니냐는 거다.
블래킹은 런던과 벤다 사람들이 가진 세계관이 다르고, 따라서 중요하게 여기는 게 다르다면, 사회나 문화 사이에 우열을 나누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블래킹의 책을 읽으며 다름을 틀림으로 보지 않고 그 다름 사이를 비교하면서 어느 하나의 가치에만 기대지 않는다면 새로운 상상력을 담은 소통이 가능해지지 않을까 희망해 본다.
조일동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류학전공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