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처음으로 코로나 백신 접종을 시작할 뜻을 밝힌 가운데 국제기구들은 여전히 북한으로부터 백신 지원 요청을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 전 북한사업조사관은 중국으로부터의 백신 수용에 무게를 뒀다.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운영하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 대변인은 북한으로부터 백신 지원 요청을 받은 바 없다며 “북한이 코로나 19 백신 도입을 위해 요청한다면 기꺼이 백신을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1년부터 9년 동안 평양에서 근무한 나기 샤픽 유니세프 전 북한사업조사관은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백신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이 북한에 제일 적절하게 백신을 제공할 수 있다. 중국은 북한 내 백신의 수송과 배분 등의 계획뿐 아니라 저온유통(콜드체인) 시설 수리나 교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주민들 전체에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북한은 유니세프와 세계보건기구 등으로부터 저온유통과 보관에 필요한 장비와 운반 수단을 지원받았고, 2004년 유럽연합 산하 ‘시민보호와 인도주의 지원기구(ECHO)’의 자금 지원으로 50개 구역에 태양열 기반 냉장고를 설치해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샤픽 전 북한사업조사관은 또한 중국으로부터 백신의 원료를 수입해 북한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중국은 북한이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북한의 많은 인력들은 백신 생산을 위한 의약품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훈련을 받았고, 북한 사람들은 자체 생산한 의약품과 재료, 그리고 백신을 보유하길 원한다”고 부연했다.
국제기구의 백신 지원은 거부하고 중국의 백신을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국제기구는 중국과 달리 백신 전달 후 백신의 배분 과정까지 감시하고 관여하려고 할 것인데 북한은 그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는 정치적인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은 한번에 다량의 백신을 전달받길 원하는데, 중국은 그 수량을 충분히 맞춰줄 수 있는 반면 국제기구는 제한된 분량을 여러 번에 나눠서 공급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번햄 교수는 북한 권력 조직의 톱다운 방식, 즉 방침이나 정책이 위에서 결정돼 아래로 전달되는 방식이 백신 배분과 접종 속도를 높일 수 있겠지만 북한의 기반 시설 현황을 고려하면 아주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