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구직자는 많은데 뽑을 사람 없다”… 반도체 인력 미스매치 심화

입력 | 2022-09-19 03:00:00

[달라진 취업 선호도]
구직자 능력, 기업 눈높이 못 미쳐
‘반도체 법안’은 국회서 감감무소식
반도체 가르칠 대학 교수도 태부족




국내 반도체 업계는 뽑으려는 기업과 지원하는 구직자 모두 늘고 있지만 오히려 일할 사람이 부족해서 생기는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기업에서 원하는 역량과 구직자들이 갖춘 직무 능력이 맞지 않는 ‘미스매치’ 때문이다.

국민의힘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반도체특위)’는 지난달 초 반도체 산업 지원과 인력 양성을 위한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법안인 ‘K칩스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에는 첨단 분야 대학 정원 확대와 임용 자격 완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총량 규제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대학들이 반도체학과 증원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기업이 계약학과를 운영하면 해당 비용을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대상에 포함시키고 외국인 전문 기술자의 세액 감면 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한다는 내용도 있다. 하지만 이 법안은 국회에 계류된 채 제대로 된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다.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000여 명으로 지금 상황대로라면 앞으로 10년간 누적 3만 명이 모자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서 주요 대학과 협력해 인재를 양성하는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지만 턱없이 모자란다는 평가가 나온다. K칩스법 등을 통해 서둘러 미스매치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다.

정원이 늘어도 들어오는 학생들을 가르칠 교수가 부족한 것도 문제다. 서울대만 해도 공대 교수 약 330명 중에 반도체를 주력으로 연구하는 교수는 10여 명뿐이다. 업계에서 전문 고급 인력 충원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대학 입학부터 세부 전공이 아닌 계열로 뽑아 교육 유연성을 넓히거나 해외에 있는 전문 인력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산업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관련뉴스